▲ 그것이 알고싶다가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를 다룬다. (사진=SBS '그것이 알고싶다' 제공)     © 정아름 기자


[중앙뉴스=정아름기자] 22일 방송되는 SBS '그것이 알고싶다'는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의 본질을 추적하고,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고 위험성 전염병에 대비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11월 20일 현재 1만 5천 145명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5,420명이 사망했으며 당분간 사망자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 발표했다.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온 라이베리아에서는 최근 감염자가 줄어들었지만 의료진의 손길이 닿지 않는 농촌 지역에서 새로운 발병이 보고되고 있고 시에라리온, 기니에서는 여전히 감염과 사망이 늘고 있다.

그 때문에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에볼라 발병 지역에 의료진과 구호인력을 파견하고 있으며 한국도 20여 명의 인력을 보낼 계획을 발표하고 그에 필요한 준비를 하고 있다.

문제는 현지에서 환자들을 돌보던 미국과 유럽 일부의 의사와 간호사, 선교사들이 감염된 것처럼 한국에서도 구호 및 의료 인력이 파견될 경우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그러한 일을 겪고 있는 미국사회는 에볼라에 대한 두려움으로 요동쳤고 전염성 질병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정치적 논쟁거리가 되기도 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충격적인 치사율에 비해 전염성은 다른 종류의 전염병에 비해 그리 높지 않다. 공기 중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는 것이 의학계의 정설이고 수백만 명이 감염됐던 신종 플루에 비하면 대규모로 발병한 지 10개월이 넘어가는 지금까지 감염자 수는 2만을 넘지 않고 있다.

보건 전문가들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변한 것에는 최근 발병한 세 나라 모두 오랜 내전으로 공공보건체계가 무너진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치료약이나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것도 상업적 가치가 없다는 거대제약회사들의 판단 때문이라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공공의료시스템이 취약한 나라일수록 에볼라를 비롯한 고위험성 전염병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고 한다.

문제는 전염성 질환에 대한 대비는 고스란히 공공의료기관에 전가되고 있는데 상업화와 영리화로 치닫고 있는 한국의 의료체계에서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예산과 인력 지원은 갈수록 빈약해지고 있으며 그 와중에 공공병원들은 민간병원과 수익성경쟁을 강요받으며 적자를 이유로 폐쇄되기까지 한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알고싶다' 제작진은 이런 의료 환경에서 에볼라 외에도 앞으로 계속 생겨날 고위험성 전염병에 대한 대비가 적절히 이뤄질 수 있을까에 대해 알아본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