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근대역사관은 3월 26일부터 6월 28일까지 근대역사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옛 지도와 사진으로 보는 '지도 속 대구: 길, 사람, 건물展'을 연다.

'지도 속 대구-길, 사람, 건물' 선보여



이번에 선보이는 유물은 조선 중기부터 근대기까지의 지도와 사진 등 총 64점으로 당시 대구지역의 도로망, 건물의 모습 등 대구의 지리적인 변천과정을 볼 수 있다.

특히 '2015 대구경북세계 물포럼'과 연계해 지도에 나타난 물길 등 물과 관련한 대구의 지리적 특성을 알 수 있는 유물도 선보인다.

눈길을 끄는 유물은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인 '대구 달성도(大丘 達城圖)'인데 겸재 정선의 손자인 정황1735-1800)이 대구의 모습을 진경산수화풍으로 묘사해 지도보다는 회화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대구전도(大邱全圖)'는 1903년 경부철도주식회사가 대구시의 측량지도를 담은 엽서 형태의 지도인데 이 지도에는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과 광무 10년(1906년) 연호가 들어간 스탬프가 찍혀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밖에 1928년 대구부지도(大邱府地圖)에는 관풍루가 달성공원으로 이전되어 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당시의 주요 도로망과 하천을 살펴볼 수 있다.

유물은 ▲성곽도시, 대구 ▲대구읍성의 철거와 도시공간구조 변화 ▲대구와 물 ▲대구 가로망의 변화와 도시 발전 등 4개 주제별로 소개된다.

'성곽도시, 대구' 코너에서는 읍성이 허물어지기 전 성곽으로 둘러싸인 대구의 옛 모습을 고지도와 사진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고지도를 통해 1736년 대구읍성이 석축되기 전의 모습과 그 후의 모습도 비교할 수 있다. 지금은 허물어져 버린 달서문, 영남제일관 등의 모습도 사진자료를 통해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다.

'대구읍성의 철거와 도시 공간구조 변화' 코너에서는 대구역 개통, 대구읍성 철거로 달라진 대구 도로망의 변화와 함께 새로 들어선 시설물 등을 만날 수 있다. 또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구 읍성 내의 중북부 일대와 성 밖의 동부 일대에 거주하고 한국인들은 구 읍성 남부와 성 밖 서남부 구릉에 거주하게 되는 뚜렷한 지역분화 현상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대구와 물' 코너에서는 대구의 상수도 역사와 화원유원지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금호강과 낙동강 등 물줄기로 둘러싸인 대구의 모습을 사진자료와 지도를 통해 만날 수 있다. 이 코너는 전시 기간에 지역에서 열리는 '2015 대구경북세계 물포럼'과 연계해 지도에 나타난 물길 등 물과 관련한 대구의 지리적 특성을 엿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구 가로망의 변화와 도시 발전' 코너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80년대까지의 대구의 모습을 사진 자료와 관련 자료를 통해 대구 도시 가로망의 발달과 대구 도시발전 기반 구축이 완성되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지도는 산, 하천 등의 지형 모습을 담은 자연 지리 정보와 도로, 건축 등의 인문 사회 지리 정보를 담고 있다. 또 지도는 축척과 기호로 공간을 기록하고 오랜 시간의 켜를 담고 있어 공간의 변화와 삶의 변화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대구근대역사관 이영주 학예연구사는 "이번 전시는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대구 거리와 주요 건물 등 도시의 변화 모습과 당대인의 삶의 모습을 지도로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