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김윤수 기자] 눈부신 경제성장의 결과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2천만 대를 넘어섰으며,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 5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 인프라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교통안전 수준은 OECD 국가 32개국 중 31위로 후진국 수준을 벗어나지 못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5천 명 이하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루 평균 약 13명의 고귀한 생명이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고 있다.

 

▲     © 김윤수 기자

 

  교통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바로 사람이다.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사람들의 무관심과 부주의에서 출발한다. 법규위반별 교통사고 건수 비중을 살펴보면 안전운전 불이행, 신호위반, 안전거리 미확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안전운전 불이행의 경우 졸음운전(36.75%), IT기기 사용(23.3%), 운전미숙(18.3%)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를 줄이는 방법은 무엇일까? 먼저 국가차원에서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하고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국가차원의 대응을 고려하기 전에 우리의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교통법규 준수와 양보문화를 운전자에게 각인시키는 것이 가장 최우선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어릴 때부터 지속적이고 철저한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운전교육을 유아기・아동기 때부터 실시하고, 운전 검정은 마지막 단계로 최종 점검하는 코스가 되어야 한다.

 

  또한 도로교통법규도 현실에 맞게 개정하여 법규 준수자가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현행법상 신호 없는 교차로 우선규칙의 경우 선진입 차량이 우선이지만, 이때 사고가 발생하면 과속으로 먼저 진입한 차량이 면죄가 된다. 또한 육교 밑 무단횡단, 보행자 신호가 적색인 경우에도 운전자 책임이 인정되는 등 교통법규 준수자가 법적 책임을 떠맡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법규 준수자가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법령을 재정비하는 등의 행정적 노력을 수반해야 한다.

 

  다음으로 운전학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현행 운전학원의 경우 운전교육대상자에게 교통법규를 숙지시키고 교통안전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예비 운전자'를 교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운전학원의 교육 시간을 늘리고, 교통안전교육를 실시하는데 있어 수강생의 비용 부담에 대한 공적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다림 없는 빠른 문화, 양보 없는 개인주의 교육의 영향으로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이 턱없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전교육도 새롭게 시작하고, 고쳐야 할 법규도 과감히 개정하여 ‘교통사고 제로화’를 위해 우리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

 

  무엇보다 운전자는 운전대를 잡는 순간, 교통법규와 양보를 한 번 더 생각하여 운전생활 속에서 안전운전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