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라오스와 캄보디아는 더 이상 미 수출입은행법이 정의하는 ‘공산주의 국가(Marxist-Leninist country)’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런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일련의 제재 완화 발언을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미국이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적극적으로 개입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했기 때문이다.

미국이 한 발 물러선 것은 베트남전쟁 이후 고집했던 두 나라의 경제제재가 오히려 자신들에게 족쇄가 되어 인도차이나 진출에 걸림돌이 되었던 것. 이러는 동안 중국과 베트남은 라오스 경제 전반에 걸쳐 생사여탈권을 행사할 정도로 성장했고 이에 방관 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기업들도 구사회주의 신흥개발도상국에 진출해 많은 성과를 올렸던 것이 사실이다. 필자가 전에도 언급했듯이 체제전환국들은 초기 혼란기를 지나면 투자대비 수익률이 급상승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라오스는 지난 1988년 국가 계획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로 전환하고 경제개발을 새로이 정립하면서 이미 3년 이라는 과도기를 거쳤다. 이후 1991년 시장경제체제에 맞게 새로운 헌법을 제정, 국가 계획경제는 시장 중심의 자유경제체제로 완벽하게 탈바꿈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90년대 말, 세계금융위기 한파를 슬기롭게 극복한 라오스는 현재 연평균 경제성장률 7%이상을 구가하며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하며 성장일변도를 달리고 있다.

일각에서 라오스의 경제를 우려하는 사람들은 내수시장이 작고 ‘내륙국가’라는 한계에 부딪쳐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꼽았다. 또한 지하자원을 개발해도 다른 나라를 거쳐야 하는 문제로 운송이 쉽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기우에 불과하다. 라오스는 인도차이나의 허브를 꿈꾸며 인접국가인 베트남과 태국을 적절히 활용, 수출입물류에 전혀 문제가 없는 나라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수출 확대 및 공업화 촉진을 위해 관세를 철폐하고 세율을 인하해 주는 일반특혜관세제도(GSP/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 수혜국인 라오스는 교통중심국이라는 지위를 이용, 아시아 뿐 아니라 유럽시장 진출을 모색하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는 유럽연합과의 유기적인 관계유지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현재 라오스는 국가 차원의 빈곤탈출계획을 세우고 국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 산악지형을 이용한 수력발전소 건설을 공개적으로 천명하고 인도차이나의 배터리 역할을 자청하고 나섰다. 또한 부존자원인 광물질개발에도 외국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문호를 개방했다.

라오스정부는 산업다각화를 꾀하며 제조업 육성을 위해 지방도시마다 공단을 조성하고 국경지역에는 경제특구를 설치하는 등 경제개발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또 외국인의 농업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주정부마다 새로운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런 라오스에 우리 정부나 투자자들은 전략적 차원의 농지를 개발하고 풍부한 지하자원과 수력발전 개발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라오스의 농업구조를 바꾸기 위한 조치로 기존의 농지를 개량하고 수리시설과 도로, 건설 등 주요 인프라 구축사업에도 정부차원의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외에도 외국인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각 도시마다 부족현상을 보이고 있는 고급주택과 대형마켓, 빌딩건축 등 건설사업 확대에도 참여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글로벌 경제체제에서 수출은 경제성장을 유지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자원이 없는 나라는 더욱 수출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수출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성장 동력인 해외투자를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된다. 특히 경제력이 부족하고 사회기반시설이 취약하다는 이유로 투자를 게을리 할 경우 미국처럼 스스로 족쇄를 채우는 꼴이 되고 만다.

또한 해외 투자는 국내 투자와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산업공동화’ 우려를 불식시키고 투자자들의 외국 진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해야 한다.

거대 강국 중국의 시진핑 부주석이 한가해서 라오스를 다녀간 것이 아니다. 그만큼 지리적으로 중요하고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비록 늦었지만 우리나라도 정부차원의 고위 외교사절을 보내거나, 나아가 대통령의 동남아시아 순방에 라오스를 포함시키는 것도 신중히 검토해야 할 때다.

라오스는 우리나라와 비교할 때 인구가 적을 뿐 영토나 부존자원에서 결코 좌시할 수 없는 인도차이나의 중요 국가로 급부상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과거 개발도상국에 진출해 국가의 목표를 달성한 것처럼 그동안 변방으로 취급했던 라오스에 정부차원의 투자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경제 지도를 다시 그려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