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문상혁기자]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이 공개되며 '경악'을 주고있다.이어 유네스코 등재 작업이 한창 진행중이다.  

 

▲.1941년 10월1일 조선총독부가 강제노동자들에게 '도망가지 말고 산업 전사자'로 남아 달라는 편지를 공개한다.  

 

일본이 최근 한국 등 주변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에 끌려가 강제노역을 해야 했던 피해자들이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조사에서 발언한 기록이 충격을 줬다.

 

한 피해 노역인은 "여기 안에서는 꼭 형무소 징역허고 똑같어. 나도 다리를 짤를라고 했당께. 석탄 구루마가 오먼 집어 넣어뿌고 똑딱 짤라지게",노역에 아픔보다 세월에 아픔이 많았던 것일까.노역이 오죽 힘들었으면 다리를 스스로 자르려고 석탄을 실은 손수레에 발을 밀어 넣을 생각까지 했다는 생생한 증언이다.

 

위원회가 최근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대상 기록물 공모'에 접수한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 33만6천797건은 이들 군함도 강제동원 피해 증거를 포함해 다양한 서류와 구술자료, 사진·영상자료 등으로 구성됐다.

 

종류별로는 위원회가 생산한 기록물만 피해조사서 22만7천141건, 지원금 지급심사서 10만5천431건, 구술자료 2천525건, 사진자료 1천226건, 위원회 검증 명부 36건, 조사보고서·도서 95건 등이다.

 

이는 국가가 직접 나서 전쟁 피해에 대한 조사를 벌여 얻은 공식 기록으로, 이 중에는 일제가 직접 생산한 문서도 포함됐다.

 

기록물은 한반도와 일본은 물론이고 일제의 식민지와 점령지 전반에 관한 내용까지 다룬다.

 

▲.1944년 5월 일제 강제노역자와 강제 징볍자 단체 사진 공개

 

국가 기관이 직접 전쟁 피해를 조사해 생산한 공식 기록이라는 특수성이 있으며 '일제강점하 사할린 강제동원 억류희생자 한국유족회'는 일찌감치 서명운동을 벌여 이미 10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은 상태다.

 

그만큼 강제 노역 증거는 확실하다는 정부에 입장이다. 또한 기록물이 일본은 물론 남사할린, 중국, 만주, 태평양, 동남아시아, 대만 등 조선인이 동원된 동아시아 전역에서 자행된 일제의 만행을 기록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한편,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기록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는 작업이 본격 추진 됐다.

 

민간에서도 조만간 종교계와 학계, 강제동원 피해 유가족 등이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운동본부'를 꾸려 학술·정책토론회와 홍보활동, 국내외 서명운동에 나설 계획이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면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2011년 등재)과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년 등재)에 이어 한국의 근현대 역사와 관련한 3번째 등재 사례가 된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