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이현정 기자] 서울 인구율이 급감하고 있다. 그중 젊은 층 유출이 늘고 있다. 최근 전세난은 심화되어가고 일자리 공공기관 등이 이전하여 그에 따른 이동이 늘면서이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서울의 인구수가 변하는 것도 시간문제이다.

 

▲    

 

 

16일 서울시가 집계하는 지난 2분기 기준 통계에 따르면, 등록외국인을 제외한 인구 수는 1007만8850명으로 전 분기에 비해 2만2137명, 0.22% 줄었다. 2013년 말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세대 수로는 5334세대가 줄었다.

 

서울 인구는 2010년 이후 매년 5만명 안팎으로 줄어드는데 이같은 감소 폭이면 내년 말쯤 1000만명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연령대별로 보면 30~40대 인구 감소가 두드러진다. 올해 2분기 기준 30~34세는 91만1691명으로 전년도 대비 4.99% 줄어들었다.

 

서울 시민의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이 남성이 32.8세, 여성이 30.9세인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서울에서 신혼집을 구하지 못해 경기도나 인천 소재 신도시에 정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0~44세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09% 줄었으며 25~29세는 1.06% 감소했다. 50~54세 역시 2.64% 줄어들었다. 20~24세와 35~39세는 각각 0.71%, 0.33%씩 소폭 증가했다. 80~84세는 9.09%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60~64세 7.29%, 75~79세 5.97%, 65~69세 4.31%씩 늘었다.

 

서울 인구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는 정부 부처의 세종시 이전과 공공기관의 지방 혁신도시 이전, 주택 문제 등이 손에 꼽힌다. 최근 천정부지로 솟는 전세난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통계청 조사에서도 지난해 서울 순유출 인구의 절반 이상이 전입신고를 할 때 이동 이유로 주택 문제를 꼽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령화돼 가면서 전반적인 인구 이동은 덜 해지는데도 서울에서는 많이 빠져나가는 추세"라며 "정부 기관 이전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지만 전입신고 사유를 봤을 때 비싼 집값, 전셋값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자가보유율이 높고 경제적으로 나름 안정적인 노년층은 계속 늘어나고, 주거 불안으로 서울에서 등 떠밀리는 젊은층들 유출이 높아 도시 전체적으로 서서히 고령화돼 가는 것이다.

 

서울의 평균 전셋값은 지난달 기준 2억9168만원으로 3억원 돌파를 코 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말 이후 8개월만에 10%가량 치솟은 것이다. 아파트만 놓고 보면 3억5763만원이며 한강 이남 지역은 4억1526만원에 이른다.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5억1213만원이다.

 

반면 경기 지역의 평균 아파트 전셋값은 1억9567만원으로 서울보다 1억원가량 저렴하다. 평균 매매가격은 2억8654만원이어서 서울 전셋값이면 경기 지역에서 아예 집을 사고도 남는 수준이다.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경기 지역으로 빠져나갈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택 문제가 인구 감소에 주된 영향을 미치긴 하지만 등록외국인을 포함한 인구 수는 최근 몇 년동안 완만한 감소세이기 때문에 수 년 내에 1000만 인구 아래로 내려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