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라미재단, '기회불평등 2016' 연구발표회 열어

[중앙뉴스=김종호 기자]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청소년층,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모두 계층간 이동이 어려워져 미래에 대한 ‘희망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 공익법인 동그라미재단은 15일 '기회불평등 2016: 생애주기별 경험과 인식 조사' 연구발표회에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 한국의 중·장년들은 자녀 세대로 갈수록 계층이동이 점점 더 어려우리라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대를 청소년(17∼19세), 청년(20∼39세), 중·장년(40∼59세), 노년(60∼74세)으로 나눠 재단과 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 모든 세대에서 계층 간 이동이 어려워져 미래에 대한 '희망 격차'가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심화현상은 진학, 취업, 소득, 가족 형성, 자녀 교육, 노후 준비 등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현실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기회불평등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기에는 문화체험 활동이나 예체능 분야 사교육, 국내외 여행 경험 등에서 지역 간·계층 간 격차를 보였다.

 

이러한 경험의 차이가 계층이동 기대감에 영향을 미쳐 '기회가 공평하게 보장돼 있다'는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고등학생이 많았다고 재단은 전했다.

 

특히 수도권 이외 지역일수록, 자신을 하층이라고 생각할수록, 어린 시절부터 교육경험이 적은 청소년일수록 이런 의식이 더 강했다.

 

청년기에는 사회경제적으로 하층 출신 청년이 상층 출신보다 대학 진학과 대학에서의 경험, 경제활동 등에서 불이익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장년 세대는 자신들보다 자녀 세대의 계층이동이 훨씬 더 어려우리라 판단했다.

 

이들은 부모-본인 계층 이동보다 본인-자녀 계층 이동이 3∼11배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런 응답은 중소도시나 농촌보다 광역시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노년층은 아직 소득과 건강상태 등 기본적인 요소에 삶의 만족도가 좌우되고 있었으나 주요 소득원인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가입 정도가 낮고 급여액 수준도 낮았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