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이 2009년 인수한 체코 두산스코타파워에서 생산하는 스팀터빈    

 

[중앙뉴스=신주영기자]두산이 120번째 생일을 맞았다.

 

면포를 주로 취급하던 일개 상점에서 시작한 두산은 긴 역사를 거치며 발전소와 플랜트, 건설기계 등 대형 사업을 아우르는 연 매출 19조원의 그룹사로 성장했다.

 

31일 두산그룹에 따르면 다음달 1일은 두산 창업주 매헌 박승직이 1896년 서울 종로 4가 배오개에 두산의 시원(始原)인 박승직 상점을 연 지 120주년 되는 날이다.

 

박승직은 당시 갑오개혁으로 독점적 상업권을 누리던 육의전이 폐지되면서 일반 상인에게도 기회가 생길 것으로 보고 상점을 개업, 근대적인 기업의 모습을 갖춰나갔다상점은 1946년 아들 박두병 두산 초대 회장이 경영권을 넘겨받으면서 상호를 두산상회로 바꿨다. "한 말 한 말 차근차근 쉬지 않고 쌓아 올려 산같이 커져라"는 의미로 박승직이 지어준 상호다.

 

박두병 회장 아래 두산상회는 1950년대 무역업과 OB맥주, 1960년대 건설, 식음료, 기계산업, 언론, 문화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 진출했고 전문 경영인 제도와 사업 다각화를 통해 두산그룹의 기틀을 다졌다.

 

1980년대에는 맥주, 건설, 전자, 유리, 기계, 무역 부문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을 폭넓게 개척했다.

 

그러나 1990년대 페놀 사건으로 주력인 OB맥주의 시장점유율이 급락하고 부채비율이 600%를 넘으면서 그룹이 위기를 맞았다.

 

두산은 창립 100주년을 앞둔 1995년 자체 구조조정에 돌입했고 한국3M, 코닥, 네슬레 등 식음류 사업과 OB맥주를 팔아 재무구조를 안정화했다

 

이후 외환위기 불경기로 새로운 성장 동력이 절실했던 두산은 인프라 지원사업으로 눈을 돌려 2001년 한국중공업(現 두산중공업), 2003년 고려산업개발(現 두산건설), 2005년 두산종합기계(現 두산인프라코어)를 인수하며 소비재 중심의 사업 구조를 중공업 중심으로 탈바꿈했다.

 

그 결과 2000년 3조4천억원이던 매출이 10년 뒤 23조원으로 급성장했고 해외 매출 비중이 1998년 12%에서 2015년 64%로 높아지며 글로벌 기업으로 재탄생했다.

 

두산은 영국의 미쓰이 밥콕(現 두산밥콕), 체코의 스코다파워(現 두산스코다파워), 독일 AE&E 렌체스(現 두산렌체스) 등 해외기업을 인수하며 보일러·터빈·발전기 등 발전사업 원천기술과 친환경 기술 확보했고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에서 40% 점유율로 세계 1위에 올랐다.

 

최근에는 주력 산업이 불황을 겪으며 인력을 대폭 감축하는 등 시련을 겪었지만, 2014년부터 돌입한 선제 구조조정이 효과를 발휘해 지난 1분기 전 계열사가 흑자전환했고 2분기에도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올해 취임한 박정원 회장은 지난 3월 취임사에서 두산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그룹 재무구조 개선, 신규사업 정착, 현장 중시 기업문화 등 세 가지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두산그룹은 "지금은 내실을 다질 때"라며 별도의 기념행사 없이 조용한 창립 120주년을 보내기로 했다. 대신 박정원 회장이 31일 사내 포털에 기념사를 올려 창립 120주년의 의미를 돌아봤다.

 

박 회장은 "한국 어느 기업도 밟지 못한 120년의 역사를 일궈낸 임직원들의 헌신에 감사드린다"며 "창립 120주년을 맞아 다시한번 대한민국 최고(崔古) 기업인 두산의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또 한번의 힘찬 도약을 위해 힘을 모으자"고 말했다.

 

박 회장은 취임 후 넉 달간 가장 중점을 둔 것이 '현장 챙기기'였다면서 "현장 직원들이 자신감 넘치고 당당한 모습으로 제품경쟁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봤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직원의 노력으로 올 상반기 기대에 부응하는 성과를 거뒀고 재무구조 개선 작업도 사실상 마무리지어 한층 단단해진 재무 기반을 마련했다"며 "하반기에는 안정된 기반을 바탕으로 영업성과를 높이는 데 보다 주력하자"고 당부했다.

 

세계 경제에 대해선 "장기 저성장 기조가 여전하며 잠재적 위험이 커지고 있는 등 여전히 녹록지 않다"며 "두산이 걸어온 120년 역사를 돌아보면 이보다 더한 고비도 수없이 많았으나 두산은 버텨온 것이 아니라 계속 성장하고 세계로 무대를 넓혀왔다. 이것이 두산의 저력이다"라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하반기에도 국내외 현장을 돌며 '현장 경영'을 펼칠 계획이다.

두산 관계자는 "120주년을 맞이한 두산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이지만, 한편으로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가장 젊은 기업으로서 또 다른 100년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