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헤드라인 12월 9일자 A1면과 A4면 두 기사속 숨은 의도는?

 

▲ 김정겸 교수     ©중앙뉴스

[중앙뉴스=김정겸] 언론은 여론을 조성하여 독자로 하여금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균형 잡힌 방향 제시의 방향타 역할을 하여야 한다. 때문에 언론이 갈등을 만드는 곳이 되어서는 안 된다.

 

갈등은 불안을 조성하게 되고 분열을 일으키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각 신문사의 헤드라인기사는 이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몇 가지 점에서 조선일보 기사에 대해 고언을 하고자 한다(참고로 필자는 조선일보 30년정도의 애독자이다).

 

첫째, 헤드라인의 구성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헤드라인은 독자로 하여금 기사를 읽을 것인지, 읽지 않을 것인지의 선택을 결정하게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독자에게 강한 관심을 끄는 내용으로 구성될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TV예능 프로그램처럼 독한 말을 솥아 부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신문은 다르다. 점잖음이 있어야 한다. 경망스럽지 말아야 한다. 
 
2017.12.09.자 조선일보 헤드라인을 살펴보고 헤드라인을 어떻게 쓰느냐가 독자에게 어떤 심리적 메시지를 주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7.12.09.자 A1 헤드라인인 [백악관도 "평창 참가 아직 미정"]과 부제 [靑 "상황 정리해달라"요청에 美 "참가 고대한다" 확답 안해]는 평창올림픽에 대한 성공적 올림픽 개최를 하겠다는 정부에 대한 강한 의구심과 전쟁에 대한 불안이라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다.

 

그렇다면 A4의 [靑 "트럼프, 美 평창간다 약속"]와 그 부제로서 [靑, 文대통령·트럼프 통화 공개… 정상 회담땐 "평창에 가족 보낼 것"]가 우리에게 주는 심리적 메시지는 평창 올림픽에 대한 평화적이고 성공적 개최를 전해 준다.

 

글에 대한 책임은 독자에 대한 예의이다. 즉 독자를 고려하고 독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시하는 책임이 있다. 헤드라인을 통해 불안을 조성하지 않았으면 한다.

 

헤드라인을 다음과 같이 바꾸어서 글을 쓰면 어떨까?

A1 헤드라인을 [靑 "트럼프, 美 평창간다 약속"]와 그 부제로서 [靑, 文대통령·트럼프 통화 공개… 정상 회담땐 "평창에 가족 보낼 것"]으로 바꾸고 , A4에 [백악관도 "평창 참가 아직 미정"]을 [백악관도 "평창 참가 안보문제 고민"]으로 바꾸는 것이다.

 

기사를 추측으로 쓰라는 것이 아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트위터에 '미국민을 보호하는 것은 우리의 최우선 과제다. 우리는 장소의 안전성을 위해 한국과 다른 파트너 국가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했다는 A1 기사를 통해 A4의 내용을 필자가 제시한 것처럼 바꾸어 쓰기가 가능하다.

 

둘째, 과연 우리는 누구를 믿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정부를 믿어야 한다. 만약 정부의 발표가 잘못된 것이라면 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사기를 저지른 것이기 때문에 큰 책임을 지어야 한다. 언론은 견제의 기능을 갖어야 한다. 맞다. 그러나 보다 객관적이고 공식적인 라인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와  백악관과 국무부의 객관적인 정보수준과 신뢰성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정보의 정확성은 백악관과 국무부가 유엔주재 대사보다는 앞설 것이다.

A4에 소개된 기사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의 "미 선수단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미정(未定)" 발언>이 헤드라인 뉴스의 논거로 대고 있다.

 

유엔 주재 미국 대사의 발언에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니키 헤일리 발언 이후 백악관과 국무부에서 '평창올림픽 참가를 고대하고 있다'는 발언>과 청와대 발표 <올림픽 참가 문제는 미국가올림픽위원회가 주관하는 문제인데 왜 아무 업무관련성도 없는 유엔 대사가 그런 발언을 했는지 이해 할 수 없다>라는 내용이 소개 되었다. 과연 어디의 정보가 믿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정부는 백악관과 정보를 교류하지 유엔의 대사와 정보를 교류하는가? 따라서 헤드라인은 믿을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의 정보제공을 토대로 생성되어야 한다.

 

셋째, 믿음의 정치가 필요한 것처럼 정부를 믿어달라는 것이다.

정치가 못 믿을 짓을 많이 해서 못 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지금의 정부는 다르지 않는가? 시민혁명이라고 불리워질 정도의 힘을 갖고 출범했다. 우리는 언론을 통해 그 혁명을 달성했다. 언론이 책임져야 할 부분은 현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대한 감시체제로서 워치독(watchdog)의 역할을 해 달라는 것이다.

 

많은 독자의 사랑을 얻는 커다란 언론사이길 무척 많이 기대하며 ...


/김정겸/한국외국어 대학교 철학과 겸임교수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