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끝에 출범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의화)가 12일 첫 회의를 열어 당헌·당규 개정을 쟁점으로 제2라운드를 시작했다.

비상위는 7월4일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무난히 합의했지만 당 대표 선출 방식을 둘러싼 이견이 적지 않아 진통이 예상된다.

전당대회의 규칙은 당권 획득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원내대표 경선과 당 대표 권한대행 논란 과정에서 잡은 승기를 이어가려는 신주류와 전대에서 설욕을 벼르는 친이명박계가 첨예하게 맞설 가능성이 크다.

정몽준 전 대표의 제안으로 거론된 당권-대권 분리문제,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추진 등과 함께 전당원투표제,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문제 등이 주요 쟁점들이다.

현재 남경필ㆍ정두언 의원 등 소장파와 친박계는 계파선거를 막기 위한 장치로 전(全)당원 투표제와 대표ㆍ최고위원 분리선출안을 주장한다.

이들은 비대위 활동 과정에서 이를 관철시킨 뒤 소장파 간 미니경선 등을 통해 뽑은 젊은 후보를 당권에 도전시킬 계획인데다가, 친박계도 원칙을 중시하는 박 전 대표의 정치 성향에 따라 기존 규정을 바꾸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다.

당권-대권 분리문제에 대해 친이명박계는 “투표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비효율성이 크다”며 당내 대선 주자급들이 경선에 나와 전대를 흥행시키고, 리더십을 갖고 당의 위기 상황을 타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당원투표제에 대해서도 범친이계인 정 비대위원장은 “장소나 투표 방법 등에서 실질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전당원 투표식으로 가기에는 어려움이 많을 수 있어 논의가 필요하다”며 부정적인 듯을 밝혔다.

한편,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자는 상임고문 외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통령 선거일 1년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현 당헌 규정을 개정하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계파와 상관없이 입장차가 뚜렷해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당 쇄신을 이끌기 위해 차기 대권주자들이 전당대회에 출마해야 하며, 이를 위해 당헌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과거 제왕적 총재 시절의 ‘권력 집중’ 폐해가 또다시 드러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팽팽하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