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길호 성신여대 겸임교수
정길호 성신여대 겸임교수

[중앙뉴스=정길호] 올림픽 개최는 그동안 특정 국가의 정치와 경제적인 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왔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이 냉전으로 반쪽 대회가 됐던 것은 정치적인 상황이 반영된 것이었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직전에 북핵 위기로 대변되는 한반도 정세를 반영하듯 우리의 우방인 미국, 일본에서는 선수를 보낼 수 없다거나 축소하여 출전한다는 얘기들이 있었다.

그러나 현 정부의 노력의 결과로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 등 극적인 남북 화해무드가 조성되어 동계올림픽 사상 최다인 93개국 2,927명이 참가하고 평화분위기 증진으로 정치·외교적으로는 성공을 거둔 듯하다.

대규모 경제효과를 기대한 평창올림픽을 유치함으로써 대한민국은 동계올림픽, 하계올림픽,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 등 4대 국제 스포츠대회를 모두 개최한 세계에서 5번째 국가가 되는 셈이다.

일본은 1964년 동경올림픽 이후 경제가 크게 성장했고 한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눈부시게 발전했으며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급부상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의 특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분석 주체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한국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에는 이론이 없는 것 같다.

지금까지 나온 경제효과 분석을 보면 산업연구원은 올림픽 총생산 유발효과가 20조4973억 원에 다다를 것으로 보고 있고 가장 크게 보고 있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보고서에 의하면 직·간접효과를 더해 향후 10년 동안 64조9000억 원의 경제효과를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림픽에 설비 투자가 16조4000억 원, 관광객 유치와 입장권 판매 등으로 4조7000억 원을 더하면 직접효과는 21조1000억 원에 이른다. 또한 간접효과는 총 43조8000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봤다.

올림픽 이후에도 강원도를 찾는 관광객이 향후 10년 동안 관광수익으로 32조원에 이르고 한국이라는 네임벨류 향상 및 이미지 제고에 따른 수출 증가 등으로 11조6000억 원의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올림픽이 주는 혜택 중에는 국가 전체의 경제발전뿐만 아니라 개최지역인 강원도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고 해당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올림픽을 계기로 메인 스타디움이 위치한 평창을 포함한 강원도, 강릉지역의 부동산 및 경기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강원도에 제2영동고속도로와 KTX가 개통되고 산악지대까지 교통망을 확충하여 교통 여건이 개선되며 필수 생활 기반 시설들이 갖춰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강원도 전 지역이 1일 생활권 내에 들어가고 국내외 각지에서 겨울스포츠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몰려와 지역 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또한 금번 올림픽에서 한국은 IT강국으로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대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ICT올림픽이라고 불릴 정도로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 초고화질영상(UHD),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을 이용한 서비스를 선보였다.

개막식에서 드론을 띄웠고 세계 최초로 5G통신 상용화의 기술력이 확보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ICT기술 중에서 특히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가상현실(VR)시뮬레이션이다.

이미 스포츠분야에서는 VR을 활용한 접점을 점차 늘려가고 있다. 스키점프, 스피드 스케이트, 봅슬레이 등을 실제 스포츠처럼 가상 체험하거나 5G를 활용해 360°가상현실 영상으로 중계를 하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유발 효과에 대하여 규모와 분야에 있어서 의견이 분분하지만 분명한 것은 한국은 이번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나라이자 선진국 진입을 알리는 계기와 함께 아시아 동계스포츠 허브라는 이미지 구축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제는 한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좋은 기회를 맞이한 만큼 올림픽 이후 여러 가지 예기치 못한 후유증 및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서울올림픽이나 다른 나라의 사례를 거울삼아 기왕에 만들어 놓은 기반 시설 및 체육 관련 경기장 등의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이미 형성된 긍정적인 분위기를 살려 우리 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 일대 도약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이는 강원도만의 문제가 아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조 및 전 국민들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 정 길 호
   성신여자대학교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 겸임교수
   (주)LG강남CS센터 대표
   본지 편집위원 겸 칼럼리스트
   前 사)기업소비자전문가협회 회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