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생활비 지급…비만·혈압 지속 체크하고 입원 등 스피드 대행

인구구조 변화는 필연적으로 새로운 산업을 탄생시킨다. 소비자들의 요구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시작됐다.
머지않아 베이비붐 세대는 국내 노령층의 주축이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들을 겨냥한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무엇보다 노후자금과 건강과 관련한 산업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전망이다.
이에 대비한 관련업계의 움직임이 부산하다.

▲     © e중앙뉴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 가입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공사는 박람회 등을 통해 주택연금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하는 H씨는 지금도 2007년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에 가입한 것을 뿌듯하게 여기고 있다. 당시는 H씨가 퇴직을 한 지 15년 정도가 지났을 무렵이다. 일정한 수입이 없던 그는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노후를 보내고 있었다. 문제는 대출금이 늘면서 이자도 불어나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대로라면 전재산인 집을 잃을 수도 있는 처지였다.

H씨는 과감하게 주택연금에 가입하기로 결정했다. 먼저 가족을 설득해야 했다. 아내는 집을 유산으로 남기고 싶어했다. 하지만 생활고 해결이 우선임을 강조해 동의를 얻어냈다. 자녀들도 흔쾌히 지지했다. 그 후 H씨의 노후는 편안해졌다. 살던 집에 그대로 살면서 생활비 걱정도 사라졌기 때문이다. 연금 중 일부를 저축해 손자들에게 선물하는 재미도 생겼다. 그는 주택연금을 ‘고령인의 안식처’라고 주저없이 말한다.

60세 이상의 은퇴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 가입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첫선을 보인 2007년 5백15건이던 가입자가 2009년 1천1백24건, 지난해 2천16건으로 크게 늘었다. 올해는 4월 말 현재 8백50명이 신규가입을 했고 이 속도라면 연말 3천명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연금은 특히 서민층 은퇴자들로부터 환영받고 있다. 주택가격 3억원 이하 가입자가 전체의 65퍼센트, 85㎡ 이하의 국민주택이 78.1퍼센트, 월지급액 1백50만원 이하가 전체의 80퍼센트에 이른다. 가입자들의 만족도는 2008년 45.5퍼센트에서 2010년 63퍼센트로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9억 이하 주택 담보로 편안한 노후 예약

김형목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부 팀장은 “퇴직 후 자녀를 출가시키고 나면 대부분의 경우 남는 재산이라고는 집 한 채가 전부인데 이마저 상속을 염두에 두고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라며 “최근엔 상속 대신 생전에 자녀에게 손 벌리지 않고 자신도 당당하게 살아가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늘면서 주택연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주택연금은 살던 집을 금융기관에 담보로 맡기고 매월 일정액의 연금을 지급 받는 금융상품이다. 주택담보대출금을 매월 나눠 받는다고 생각하면 쉽다. 주택에 대한 소유권은 가입자가 그대로 유지하며 가입을 해지하면 금융기관은 주택을 처분해 대출금과 이자를 돌려받는다. 대출금을 상환하고 남은 금액은 당연히 가입자의 몫이 된다. 최대 장점은 살던 집에 그대로 살면서 죽을 때가지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오래 살아 담보인 집보다 받은 연금이 많아지더라도 연금은 계속 지급된다. 가령 60세에 3억원 상당의 집을 담보로 맡기면 매월 70만원을 종신토록 받게 된다. 국가가 지급을 보증하므로 연금지급이 중단될 위험도 없다.

▲     © e중앙뉴스

















자신의 경제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연금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먼저 연금수령 방식이 다양하다. 불시에 필요한 돈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연금수령 방식을 다르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3억원의 집을 담보로 매월 70만원을 받을 수도 있고, 3억원 가운데 5천만원은 수시로 입출금하고 2억5천만원에 대해서만 연금을 받을 수도 있다.

또 연금액을 다르게 설계할 수도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액을 받는 것으로 정할 수도 있고, 초기에 많이 받다가 수령액을 줄어들게 할 수도 있으며, 초기에 적게 받다가 나이 들수록 더 많이 받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자신의 경제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설계를 할 수 있는 셈이다.

모든 사람이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먼저 다주택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 부부가 모두 60세 이상이어야 한다. 9억원 이상 주택 소유자도 가입할 수 없다. 가입은 한국주택금융공사나 시중은행에서 할 수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홈페이지(www.hf.go.kr)와 전화(1688-8114)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안내하고 있다.

노후건강 보장 건강관리 서비스 급부상

건강관리 서비스도 각광받기 시작했다. 병원이 이미 질환이 발생한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라면 이 서비스는 병에 걸리지 않도록 사전에 건강을 관리해 준다. 비만 위험 고객에겐 체중관리를, 혈압이 높은 고객에겐 혈압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해 줘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도움을 준다.

▲     © e중앙뉴스
이영준 에임메드 사장은 건강관리서비스 시장이 갈수록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건강관리 서비스는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에선 이미 일반화됐지만 국내에선 최근 들어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다. 건강관리 서비스 업계의 선두주자인 에임메드의 이영준 대표는 “이 서비스에 가입하는 보험사와 일반기업들이 2~3년 전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질환이 발생하기 전부터 관리하면 비용부담이 그만큼 감소한다는 인식이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일이 있었다. 이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이 직장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다. 검진결과는 본인은 물론 에임메드에도 통보됐다. 이 고객이 검진결과를 자세히 보지 않고 방치한 반면 에임메드는 꼼꼼히 살폈다. 그 안엔 주의할 만한 소견이 있었다. 위에 암으로 의심되는 징후가 발견됐다는 것이다. 에임메드는 고객에게 연락을 취해 정밀진단을 받도록 했다. 결과는 위암이었다. 다행히 초기였고 수술을 마친 후 이 고객은 직장에 무사히 복귀할 수 있었다.

에임메드는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병에 걸린 고객이 어느 병원의 누구를 찾아가야 할지 모를 때 적절한 의료기관을 추천하는 것은 물론 제휴 의료기관의 경우엔 대기시간도 앞당겨 준다. 몇 달을 기다려야 할 수술 일정을 1주일 안에 잡아 주기도 한다. 암환자의 경우 전문 간호사를 파견해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기도 한다.

건강관리 서비스는 최근 들어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원격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U헬스케어가 그것이다. 집에서 건강 체크를 하면 이를 업체가 수신해 관리해 주는 시스템이다. 미국과 일본에선 이미 관련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고 한국의 기업들도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대표는 “몇 년 후면 한국의 기업들이 건강관리 관련 제품을 수출하기 시작하면서 국제적인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법제도가 정비되면 국내 시장도 빠르게 활성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