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남·전북지역 고용률·실업률 악화

(사진=통계청제공)
연령계층별 고용률 현황(사진=통계청제공)

[중앙뉴스=신주영 기자] 취업자 증가 폭이 3개월째 10만 명을 겨우 넘었다. 10개월간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졌던 제조업에서 감소로 전환한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수가 감소세로 전환한 데에는 조선업과 자동차산업의 극심한 불황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6만8000명(1.5%) 줄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86만8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만3천 명 증가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2월부터 10만 명 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월 33만4천 명에서 2월 10만4천 명으로 확 줄어든 뒤 3월 11만2천 명에 이어 지난달 또다시 10만 명대를 기록한 것이다.

(사진=통계청제공)
산업별 취업자 현황(사진=통계청제공)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사진=통계청제공)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사진=통계청제공)

 

2017년 6월부터 10개월 연속 취업자가 증가했던 제조업은 지난달 6만8천 명 줄어 감소로 전환했다.

지역별로 보면 현대중공업 등 조선업 구조조정과 한국GM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울산과 경남, 전북 지역에서 고용률과 실업률이 급격히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울산의 경우 고용률은 58.6%로 지난해보다 1.1%포인트 감소했고, 실업률은 2.3%포인트 증가한 5.9%를 기록했다. 경남 고용률은 지난해보다 0.6%포인트 하락한 61.0%를, 실업률은 0.5%포인트 상승한 3.6%를 나타냈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영향을 받은 전북의 고용률은 0.9%포인트 낮아진 58.7%를, 실업률은 0.3%포인트 오른 3.2%였다.

건설업 역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수는 지난해보다 3만4000명(1.7%) 증가한 데 그쳤다. 건설업의 경우 작년에 취업자가 평균 11만9천 명 증가해 고용시장을 견인했으나 올해는 1월 9만9천 명, 2월 6만4천 명, 3월 4만4천 명, 4월 3만4천 명으로 취업자 증가 폭이 점차 축소하는 양상이다.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폭은 건설수주 감소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과 의료·정밀·광학기·시계 제조업의 고용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사진=통계청제공)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사진=통계청제공)
2018년4월 고용동향(사진=통계청제공)
2018년4월 고용동향(사진=통계청제공)

도매 및 소매업은 제조업 감소의 영향으로 도매 및 소매업은 6만1천 명, 교육서비스업은 학생 수 감소와 대학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교육서비스업은 10만6천 명 줄었다.

이에 반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4천 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8만1천 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2개월째 감소하던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2천 명 늘었다.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사진=통계청제공)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사진=통계청제공)

고용률은 60.9%로 1년 전보다 0.1% 포인트(p) 내렸고,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6.6%로 전년동월과 동일하고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2.0%로 0.1%p 하락했다.

취업자 수에 비해 실업률 지표는 비교적 나아진 모습을 보였다. 실업률은 4.1%로 1년 전보다 0.1%p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0.5%p 하락한 10.7%였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23.4%로 0.2%p 하락했다.

실업률이 하락한 이유는 작년에는 4월이었던 사회복지 직렬 공무원 시험 시기가 올해는 5월로 늦춰지면서 시차에 따른 요인도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9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4천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육아(-9만 7천명, -7.6%), 재학․수강 등(-3만 5천명, -0.9%), 심신장애(-1만 6천명, -3.6%)에서 감소하였으나 쉬었음(12만 2천명, 7.5%), 가사(7만 7천명, 1.3%) 등에서 증가하였다.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수강 등 취업준비는 69만 1천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4만 2천명(6.4%) 증가하였다

한편 정부가 복지예산 증가, 공공일자리 확대 정책 등이 일자리를 만들고 있는 모양새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 영향으로 공공행정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8만1000명(7.8%) 증가했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14만4000명(7.5%) 상당수 늘었다.

정부는 국회 심의에 들어간 3조9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으로 청년실업, 지역경제 침체 등의 문제를 일정 부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시도별 고용률 및 실업률(사진=통계청제공)
시도별 고용률 및 실업률(사진=통계청제공)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