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사람인 제공)
(사진=사람인 제공)

[중앙뉴스=우정호 기자] 극복할 수 없는 환경에 반복 노출된 경험과 그로 인한 우울감으로 자포자기 하게 되는 것을 ‘학습된 무기력’이라고 한다. 취업문이 좁아지면서 대부분의 구직자들이 취업실패시 ‘학습된 무기력’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구직자 647명을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구직자의 82.5% 는 어떤 시도를 해도 바뀌지 않을 것 같아 미리 포기하는 ‘학습된 무기력’을 겪었다고 답했다고 25일 밝혔다.

무기력을 느끼는 원인으로는 ‘반복되는 불합격으로 인한 자괴감’(48.1%, 복수응답), 이어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43.6%), ‘남들과 비교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38.4%), ‘노력해도 극복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돼서’(38.2%), ‘경쟁이 너무 치열해서’(24.2%) 등이 있었다.

이러한 학습된 무기력은 구직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53.9%는 ‘취업의지가 점점 없어진다’(복수응답)고 응답했으며, ‘아무것도 안하고 집에만 있는 시간이 늘어났다’(47.6%)는 이들도 많았다.

그 다음으로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음’(45.9%), ‘자신감 결여로 입사지원 빈도수가 적어짐’(35.4%), ‘하고 싶은 일이나 입사하고 싶은 기업이 없어짐’(28.1%) 등의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무기력증으로 구직활동을 중단한 적이 있거나 중단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는 응답자는 무려 90.3%나 됐다.

실제로 지난 3월 발표된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비경제활동 인구 중 ‘그냥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02만명에 달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 된 이후 최대 수치로 20대에서 ‘그냥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10년전에 비해 14.6%가 늘어났다.

‘학습된 무기력’은 장기화된 경기침체, 사회양극화, 청년실업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무기력을 느꼈던 구직자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44.2%) 보다는 ‘사회적 정책 및 인식변화’(55.8%)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실패와 좌절에 반복 노출된 구직자들은 자괴감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안정해지기 쉽다”며 “사회적으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지만, 개인적으로도 작은 성공을 위한 목표설정을 통해 성공경험을 쌓는 한편, 긍정적인 생각과 스스로를 격려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