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연,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값 14년 최대폭 하락 예상

사진=국토교통부자료
(사진=국토교통부 자료)

[중앙뉴스=신주영 기자] 올 하반기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떨어져 올해 6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세가격은 2% 이상 내리면서 14년 만에 최대 하락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됐다.

2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18년 하반기 건설·주택경기 전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0.5%가량 상승한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하반기 0.5%, 전세가격은 1.3% 각각 하락하며 올 한 해 집값이 작년 대비 0.1%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0.9% 내린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하반기에만 1.3% 하락해 연간 -2.2%의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2004년 연간 3.3% 하락한 이후 14년 만에 최대 낙폭이다.

하반기 수도권 새 아파트 준공 물량도 11만8천가구로, 2017년 하반기 이후 3분기 연속 반기별 입주물량이 10만가구를 넘어서며 공급 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방 부동산 시장은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수도권 매매가격은 0.2% 하락하지만 지방은 0.8% 떨어질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또한 지방 중에서도 울산과 경남이 장기 침체를 보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준공 물량이 많고 지역경제까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택 시장 침체는 2019년까지 침체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을 비롯한 고가주택시장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며 보유세 논의 등에 따른 거래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여전히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실수요자와 도심 집중이라는 장기적 토지이용 트랜드로 올해 조정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올해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4.7% 감소한 136조8000억원으로 예측됐다. 이는 2014년 107조5000억원 이후 4년 내 최저치로 2015년 이후 3년간 지속된 건설수주 호황국면이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수주 감소의 주된 원인은 민간 주택수주가 주택경기 하락의 영향으로 급감하는 가운데 공공 수주가 완충 역할을 하지 못하고 정부 SOC 예산 급감 등의 영향으로 동반 하락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건설경기 동행지표인 건설투자도 전년 대비 0.2% 감소해 2012년 -3.9% 이후 6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 대체 상품 부재로 새 아파트 청약시장과 남북 정상회담 호재로 접경지역 투자는 지속할 것으로 보이나 상반기보다 투자 열기와 대상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올해 주택 인허가 물량은 작년 대비 14% 감소한 56만가구, 올해 분양은 작년 대비 10% 이상 줄어든 28만가구로 전망했다.

사진=국토교통부자료
(사진=국토교통부 자료)

5월 주택 미분양 전달 대비 0.4% 증가

국토교통부는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달 대비 0.4% 증가한 5만9천836호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미분양 물량은 2월 6만903호에서 3월 5만8천4호로 줄었다가 4월 5만9천583호에서 지난달 5만9천836호로 조금씩 늘고 있다.

수도권의 미분양은 9천833호로 전달보다 5.1% 줄었으나 지방은 5만3호로 1.6% 늘었다.

규모별로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달보다 0.8% 줄어든 5천465호, 85㎡ 이하는 전달보다 0.5% 늘어난 5만4천371호로 집계됐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5월 말 기준으로 전달 대비 0.3% 증가한 1만2천722호로 집계됐다. 

사진=국토교통부자료
(사진=국토교통부 자료)
2018년 5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현황(사진=국토교통부자료)
2018년 5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현황(사진=국토교통부자료)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