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가 발생한 bmw(사진=mbc캡쳐)
화재가 발생한 bmw(사진=mbc캡쳐)

[중앙뉴스=신주영 기자] 최근 닷새간 하루에 한 건씩 BMW 승용차 화재가 발생했다.

3일 BMW 자동차 리콜 사태에 결국 정부의 운행 자제 권고로까지 이어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특정 차량에 대해 운행 자제 권고를 내리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BMW가 10만6천 대에 달하는 차량에 대해 대대적인 리콜을 시행한다고 발표했음에도 사태는 확산일로를 걷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리콜 조치 발표 이후에도 BMW 차량의 주행 중 엔진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올 들어 불에 탄 BMW 차량만 총 29대다. BMW코리아 측은 엔진에 장착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를 화재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EGR은 배기가스의 오염 물질을 낮추기 위해 디젤차량에 장착되는 장치인데 여기에 들어가는 쿨러(냉각시스템)에 결함이 생겨 고온의 배기가스가 흡기밸브로 유입되고 플라스틱 재질의 부품에 옮겨붙어 불이 난다는 것이다.

손병석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3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최근 잇따르는 BMW 차량화재와 관련해 리콜대상 차량의 운행자제를 당부하고 신속한 정부대응을 밝히는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손병석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3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최근 잇따르는 BMW 차량화재와 관련해 리콜대상 차량의 운행자제를 당부하고 신속한 정부대응을 밝히는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를 바탕으로 국토부는 42개 차종 10만6000여대의 디젤 차량에 대한 리콜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BMW 측이 원인으로 제시한 EGR은 다른 나라의 디젤차량에도 대부분 장착돼 있다. 유독 국내에서 판매된 BMW 차량에서 이 결함으로 사고가 난다는 점에 대해선 아직까지 BMW나 국토부 측의 명확한 설명이 없다.

국내에서 EGR 결함으로 인한 리콜은 이전부터 꾸준히 실시됐다. 2014년 6월 생산된 차량 2000여대, 2015년에 생산된 1만2000여대도 이 부품의 불량으로 리콜됐다. 이후 2016년~2016년에 판매된 5만5000여대 차량도 같은 문제로 지적돼 리콜 조치됐다.

국내에서 EGR 리콜이 수차례 진행되는 동안 다른 나라에서 동일한 결함으로 리콜 조치된 적은 없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 부품이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중국산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BMW코리아 측은 "전 세계에서 판매하는 동일한 차량에는 모든 같은 EGR 부품을 사용한다"며 중국산 부품 의혹에 대해 일축했다.

소비자들도 불만이다. 긴급 안전진단 신청을 위한 콜센터가 폭주하는 문의전화로 먹통이 되자 BMW는 급히 '리콜 전담 고객센터'를 설치하고 콜센터 상담원을 2배 이상 늘렸다.

BMW 리콜 사태의 1차 분수령은 다음 달 중순이 지나 실시될 리콜 이후 BMW 화재 사고가 수그러드느냐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뒤늦은 대처로 비난을 받고 있는 국토부가 BMW 코리아 측의 늑장대응이나 결함 은폐여부를 조사하기로 했다. 다만 화재 원인을 파악하는 데 최고 10개월 정도가 소요된다고 밝혔다.

키워드

#bmw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