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신현지 기자)
(사진=신현지 기자)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총인구 중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Aged Society)라고 한다. 

27일 통계청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방식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142만 명으로 전년(5127만 명)보다 15만 여명 증가했다. 

이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4.2%인 711만5000명에 달했다. 이로써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17년 만에 고령사회가 되었다. 이는 1970년에서 1994년까지 약 24년이 소요된 일본 보다 7년이나 빠른 증가 수치다.  

반면 유소년인구는 6,632천 명으로 전체의 13.3%에 그쳤다. 생산연령 인구는 36,196천 명(72.5%),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7,115천 명(14.2%)으로 집계되었다.

이에 유소년 인구 대비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07.3을 기록했으며 2016년(100.1)과 비교해 7.2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대비 유소년 인구를 뜻하는 유소년 부양비는 18.6에서 18.3까지 감소했지만 노년 부양비는 18.7에서 19.1로 크게 증가했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큰 시도는 전남으로 171.5이며 노령화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시로 전년대비(47,8)에 비해 45.5로 나타났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647.5)이며, 이어 경북 의성군(616.9), 전남 고흥군(526.7)순이다.

(표=통계청 제공)
(표=통계청 제공)

65세 인구의 증감률은 95~99세가 15.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100세 이상(12.1%), 85~89세(8.7%) 순이다. 2017년 100세 인구는  3,908명으로 2016년 3,486명에 비해 12.1%(422명) 증가했다.

지역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경기도가 1,426천 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1,290천 명, 부산 550천 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시도별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 전북(19.0%),강원(18.0%) 순이며, 세종(9.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하여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29%, 2인 가구까지 하면 50%를 넘어, 전체 가구 수는 처음으로 2천만 가구를 넘어섰다.

한편 전문가들은 고령인구의 비중이 늘어날수록 사회는 질병·빈곤·고독·무직업 등의 문제와 대면하게 될 것이라며 여기에 따른 정부의 사회경제적 대책이 시급함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