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소재 특성, 착화·보관 환경 등을 고려하여 관리해야”

(자료=한국소비자원 제공)
품질하자 유형별 현황(상)과 품목별 현황(하) (자료=한국소비자원 제공)

[중앙뉴스=김수영 기자] A씨는 지난 6월 고무소재의 여름용 샌들을 27,630원에 구입했다. A씨는 이 샌들을 물놀이를 위해 잠시 햇빛이 들어오는 외부에 벗어두었는데 수축되는 하자가 발생했다. 심의 결과 열내구성 불량에 따른 제품하자였던 것이다.

예년보다 이른 무더위와 이례적인 폭염이 지속되면서 샌들·슬리퍼 등 여름용 신발 관련 소비자 불만이 증가하고 있어, 여름용 신발 구입 및 관리에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31일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신발제품심의위원회에서 총 1,088건에 대해 하자 원인 규명 심의를 진행한 결과 전체 하자 121건 중 약 80%인 94건이 6~7월에 의뢰됐다.

이 중 샌들, 슬리퍼, 아쿠아슈즈, 장화 등을 포함한 여름용 신발이 121건을 차지했다.

하자발생 월별 현황 (자료=한국소비자원 제공)
하자발생 월별 현황 (자료=한국소비자원 제공)

심의 의뢰된 여름용 신발 관련 121건 중 신발 자체의 품질하자로 판단된 81건의 하자원인을 분석한 결과, 내구성 불량 40.7%(33건), 설계 불량 및 접착 불량 각각 16.1%(13건), 부소재 불량 11.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내구성 불량의 주요 내용으로는 열에 의한 수축, 안창 파손, 가죽 손상, 스트랩(끈) 탄력성 상실 및 연결 부위 파손 등이었고, 설계 불량은 스트랩(끈) 길이 상이, 신발 좌우 크기 비대칭 등이 많았다.

그밖에도 여름용 신발의 착화 환경, 소재 특성 등으로 인해 장식 등의 부소재 탈락, 수분 접촉이나 접착용액 용출 등에 따른 소재 변색 등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리 부주의로 판단된 주요 사례로는, ▲물에 노출된 신발을 제대로 건조하지 않은 채 보관하여 악취 발생 ▲이물질이 묻은 신발을 그대로 보관하여 갑피 변색 ▲신발 소재 특성상 수분과 접촉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천 시 등에 착화하여 이염이 발생한 경우 등이 있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여름용 신발의 경우 겉창·안창 등의 소재, 착화 및 보관 환경 등을 고려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신발제품심의위원회의 심의결과 품질하자로 판단된 사례를 추가로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신발 제조·판매업체 및 세탁업체와 공유함으로써, 제품 품질 개선 및 세탁방법 고도화를 통한 기업의 혁신성장에 기여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소비자 친화적인 경영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