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배 편집국장
김경배 편집국장

[중앙뉴스=김경배]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방문이 20일로 마무리됐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70년간 첨예하게 대립했던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전쟁 없는 한반도의 서막을 여는 계기를 마련했다.

특히 19일 남북 정상이 정상회담을 마치고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서명한 ‘평양공동선언’은 지난번 판문점선언을 구체화하고 한반도 평화를 향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평가를 받을만하다.

단순히 선언에 그치지 않고 평양공동선언의 부속문서로 채택한 ‘군사분야 합의서’는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남과 북이 마주하고 있는 군사분계선(MDL)과 북방한계선(NLL) 일대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군사력이 밀집해 있는 곳으로 전쟁의 불씨가 언제든지 번질 수 있는 화약고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번 군사분야 합의서를 통해 한반도의 지상·해상·공중 등 모든 공간에서의 적대 행위 일체를 전면 중지해 향후 물리적 충돌 요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다는 점에서 사실상 남북의 ‘종전선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 위원장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1월이나 12월 중 서울을 답방하기로 한 것도 남북한의 불신을 불식시키고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동창리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영구적으로 폐기하고 6·12 북·미 공동성명의 정신에 따라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계속 취해나갈 용의가 있음을 표명한 것도 그동안 답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북미관계에 새로운 동력을 마련한 것이다.

특히 이번 공동선언에서 눈에 띄는 것은 김 위원장이 육성으로 비핵화 의지를 밝힌 대목이다. 김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조선반도를 핵무기도 핵위협도 없는 평화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기로 (문재인 대통령과) 확약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이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밝힌 적은 여러 차례지만, 이렇게 공개 석상에서 직접 목소리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 나라를 이끄는 국가수반이 대외적으로 천명한 발언은 법적 구속력은 없을 지라도 그와 진배없는 가치를 지닌다.

때문에 이미 대외적으로 밝힌 김 위원장의 발언은 다시 주어 담을 수 없다. 북한의 진정성이 무게가 실리는 대목인 것이다. 공동선언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즉각적이고 긍정적인 점도 바로 김 위원장의 발언이 하나의 원인이었을 것이다.

문 대통령은 평양 방문 마지막 날인 20일 김 위원장과 함께 백두산을 찾았다. 두 정상은 남북 모두의 상징과도 같은 백두산을 오르며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남북한이 하나 되어 새로운 시대, 새롭게 도약하는 한민족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