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캠퍼스 타운지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형 캠퍼스 타운지 (사진=서울시 제공)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대학-청년-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을 유도해 일자리·주거 등 청년문제와 지역 활력 침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서울시 도시재생 사업 중 하나인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이 서울전역으로 확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울시는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3년차를 맞아 서울 소재 48개 대학교 총장 간 정책 협의기구인 제5회 캠퍼스타운 정책협의회를 24일 마포구 서울창업허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캠퍼스타운 사업의 추진 배경과 목표, 14개 대학의 지난 3년간의 성과를 소개한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8월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학타운형’으로 선정된 전국 4개 대학(경남도립남해대학, 경북대학교, 인제대학교, 전남대학교)이 서울시, 캠퍼스타운 정책협의회와 청년‧대학‧지역의 상생성장 및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아울러 지역의 노포인 전통찻집을 공유형 상점으로 재건한 경희대의 ‘녹원’ 종이의 특성과 기계공학의 원리를 융합해 기존 페이퍼토이가 할 수 없었던 움직임을 구현한 교육도구를 제작하는 고려대의 ‘로보트리’ 청각장애인 택시기사를 위한 의사소통 플랫폼을 개발한 동국대의 ‘코엑터스’ 교통사고 2차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 시스템을 개발한 광운대의 ‘차랑’ 등 14개 대학 50개 창업팀이 참가, 주요 아이템을 전시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이밖에도 참가 창업팀의 사업‧서비스 분야별 상담기회가 제공되며, 사업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데모데이(Demo-day)도 진행된다. 데모데이에는 8팀이 참가하며 상위 3팀에는 상금과 서울창업허브 입주지원시 1차 서류심사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한편 대학-청년-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을 유도해 일자리·주거 같은 청년문제와 지역 활력 침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실시되는 ‘캠 퍼스타운'은 종합형과 단위형으로 나눠 추진된다.

이에 종합형은 청년창업 일자리를 비롯해 주거·문화·상업·지역협력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재생 방식으로 진행되며, 4년 간 총 300억원(개소당 100억원)이 투입된다. 단위형(2단계)은 3년 간 총 279억원을 들여 대학과 지역에 필요한 프로그램 중심의 개별사업 단위로 추진된다. 

앞서 서울시는 1호 캠퍼스타운인 `고려대`(종합형)에 창업 아이디어가 펀딩까지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청년창업공간인 `스마트 스타트업 스튜디오` 9개소의 문을 열었다. 고려대가 임차보증금을 서울시가 리모델링 및 운영비를 각각 부담한다. `동양미래대학교`(단위형)는 고척스카이돔 주변 상권 활성화를 위해 시각정보디자인과 교수진과 학생들이 나서 23개 상점을 브랜딩하고 간판, 메뉴판, 포장용품 등의 디자인을 개발했다. 

서울간호여자대학교는 보건의료 전문인력 양성기관이라는 특성을 살려 지역의 어르신들에게 혈압·체온·혈당 측정과 건강상담을 하고 치매예방 교육 등을 지원하는 `웰에이징(Well-aging)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경희대`는 오랫동안 회기동을 지켜온 대표적인 노포였지만 경영난으로 문을 닫은 전통찻집 `녹원`을 공유형 상점으로 되살려냈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올해로 3년차를 맞이하면서 안정기에 접어들고 있으며, 올해 14개 대학에서 내년에는 32개 대학으로 확대되고,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학타운형’ 모델이 반영되는 등 정책의 우수성 또한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정책협의회와 청년창업 페스티벌을 통해 그간 열심히 노력해 온 대학 및 사업 관계자들과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캠퍼스타운이 나아갈 방향을 함께 고민해보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청년창업 페스티벌을 통해 지금까지 노력해온 청년창업팀들에게 응원의 말을 전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