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원내대표가 기자들에게 부탁, 바른정당 출신들의 연쇄 탈당, 이학재 의원과 이지현 전 비대위원의 탈당, 최원선 부대변인의 인내

[중앙뉴스=박효영 기자]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기자들에게 푸념을 했다.

“여기에 있는 언론인들도 안주삼아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하지 않는가. 저 당이 그대로 있을까. 누구는 한국당으로 가고 누구는 민주당으로 가고 공중분해되지 않을까. 그런 얘기들이 자꾸 떠돌면 떠돌수록 저희 당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 기반이 확보되기 어려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김 원내대표는 7일 오후 국회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바른미래당에 대한 미래를 회의적으로 단정짓고 쉽게 말하는 언론인들에 대해 약간의 아쉬움을 드러내고 희망섞인 부탁을 했다.

이를테면 “바른미래당이 존재할 수 있을까.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까. 이런 기사 대신에 가능하면 바른미래당이 국회에서 어떤 역할을 했고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보도를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심지를 갖고 바른미래당을 총선까지 이끌어보겠다고 공언했다. (사진=박효영 기자)

이미 지난달 18일 이학재 의원이 탈당한 뒤 바로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했을 때 강한 쓰나미가 몰아친 뒤였다. 유독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을 만들었던 인사들이 국민의당 출신 인사들보다 더 많이 커다란 둥지로 돌아가고 있다. 

이 의원은 지난해 1월11일 바른정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잔류를 선언하고 통합 신당 창당에 힘을 보태겠다며 “바른정당 탈당과 한국당 복귀가 최선인가? 실패가 두려워 안주하려는 것은 아닌가? 늘 아이들에게는 힘들다고 쉽게 포기하지 말라고 말했지만 정작 애비는 이렇게 쉽게 포기해서 되겠는가? 반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들과 함께 지리산에 다녀왔다. 아무리 춥고 험한 높은 산도 한 발 한 발 내딛으면 정상에 오르지만 어떠한 이유로든지 포기하면 오르지 못 한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고 밝혔다.

지방선거 당시 “이학재의 60분 호소” 캠페인을 통해 1인 피켓 선거운동을 하는 등 열심히 뛰었다.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1인 피켓 선거운동을 한 이학재 의원의 모습. (사진=이학재 의원실)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1인 피켓 선거운동을 한 이학재 의원의 모습. (사진=이학재 의원실)

이지현 전 바른미래당 비상대책위원도 지난달 말 탈당했고 한국당으로 복당 신청을 했다. 동시에 당협위원장 공모에도 응했다. 이 전 위원은 서울시의원 재선 출신으로 친 유승민계 인사로 분류된다. 무엇보다 바른정당 싱크탱크에서 중책을 맡았고 바른미래당이 지방선거에서 참패하고 당을 수습하기 위해 꾸려진 비대위에 합류했을 만큼 죽음의 계곡을 견뎌야 한다는 의지가 있었던 인물이다. 

결국 이 전 비대위원이 서울 강남병에 지역위원장 신청을 했지만 현역 김삼화 의원에 밀려 탈락했던 것이 탈당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추석 귀성길에 바른미래당 홍보 인사에 참여했던 이지현 비대위원의 모습. (사진=바른미래당)

사실 이런 위기감은 하루 이틀 된 이야기는 아니다. 바른정당 때부터 그동안 탈당 러시는 지속돼왔다.

△2017년 5월2일 13명의 1차 탈당(이은재·김성태·박성중·홍일표·김학용·박순자·권성동·홍문표·이진복·장제원·이군현·여상규·김재경) 
△2017년 11월8일 9명의 2차 탈당(김무성·김용태·김영우·강길부·정양석·주호영·이종구·홍철호·황영철) 
△2018년 1월9일 3명의 3차 탈당(김세연 의원과 남경필 전 경기지사·원희룡 제주지사의 3차 탈당) 
△2018년 1월16일 박인숙 의원의 4차 탈당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통합하고 바른미래당을 창당한 주역으로서 유승민 의원의 무게감이 있는데 그럼에도 유 의원을 비롯 바른정당 출신들의 추가 탈당설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최원선 바른미래당 부대변인은 9일 오후 기자와의 통화에서 “사실 지금 바른정당 출신들이 거의 다 나가고 있지 않은가. 그게 지금 왜냐면 바른정당은 보수를 개혁하겠다고 만들어진 당이다. 그니까 제일 말을 많이 하는 것이 그것이다. 바른미래당은 보수라는 말을 아예 안 꺼내고 있으니까.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불만 이런 게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국민의당은 다당제나 중도를 위해 나왔던 당이고 바른정당은 보수를 개혁하겠다는 의도가 있어서 만든 당인데 지금 보수 개혁을 하기 위한 터전이 안 만들어졌다고 할까. 그래서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솔직히 보수라는 표현 자체를 쓸 수 없는 것이 문제 같다”고 밝혔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정말 열심히 뛰었던 최원선 부대변인. 안철수 전 서울시장 후보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최원선 부대변인 페이스북)
지난 지방선거에서 정말 열심히 뛰었던 최원선 부대변인. 안철수 전 서울시장 후보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최원선 부대변인 페이스북)

물론 보수 통합을 명분으로 한국당 복귀를 선언하고 있지만 실상은 당선 가능성이다. 양당 체제에서 바른미래당으로 뭘 해봤자 성공하기 어렵다는 실패의 연속이 변심하게 만들었다.

최 부대변인은 “진짜 그런 분들(보수 통합의 대의를 중시)도 있지만 (탈당하고 한국당으로 복귀하는) 핑계를 대는 분들이 있긴 하다. 지금 보수를 개혁하는 것이 여기서 잘 안 되니까 한국당으로 돌아가는 것 아닌가. 근데 나는 한국당에서 과연 개혁을 할 수 있을까. 지금 전혀 개혁의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데 나는 그것 때문에 한국당으로 못 간다. 그건(도로 친박 현상) 도저히”라고 역설했다. 

더 나아가 “나는 모르겠다. 나는 바른정당이 첫 정당이다. 그래서 되게 이상주의자라고들 하는데 나는 정말 정치개혁을 하고 싶어서 깨끗한 정치를 하고 싶어서 (정치권에 입문했다). 선거 때도 그랬었다. 당연히 정치는 더러운데 그걸 모르고 들어왔느냐. 이런 얘기도 들었다. 근데 나 하나라도 바꿔보고 싶은데”라며 잔류 의지를 드러냈다.
 
이 의원이나 이 전 비대위원에 대해서도 “개혁을 위해 진짜 고생 많이 하셨는데 (아쉽다). (그럼에도 나는) 견뎌내야 한다”고 다짐했다. 

유승민 의원은 바른미래당을 만든 창업주다. (사진=박효영 기자)

한국 정치가 양당 체제의 쳇바퀴 속에서 적대적 공존으로 이어져왔고 여기서 분명 보수의 몰락이 파생됐다면 보수 개혁을 위해서는 강력하게 작용하는 원심력을 이겨낼 필요가 있다.

유 의원은 그동안 개혁 보수를 위한 고진감래를 강조해왔다. 2017년 11월 있었던 바른정당 전당대회에서도 개혁 보수의 길이 그토록 힘들다면서 “죽음의 계곡”을 묵묵히 건너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바른정당에서 바른미래당까지 전당대회에 연속으로 출마해서 당대표는 되지 못 하고 계속 최고위원만 하고 있는 하태경 의원도 유 의원과 함께 개혁 보수의 선봉장에 서 있다. 

정청래 전 의원은 7일 방송된 MBN <판도라>에서 “바른미래당이 흔들거릴 것이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이탈이 있을 것이다. 그러면 하태경 의원은 바른미래당을 절대 나갈 수 없다. 본인이 해놓은 말들이 있다. 그래서 결국은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내년 총선에 안 될 수도 있다. 근데 그런 것 두려워하지 말라. 어차피 길게 가는 것이다. 하태경 저 정치인은 어려움에도 당을 지킨 사람 이런 이미지가 쌓일 것”이라고 덕담을 건넸다.

하태경 의원에게 덕담을 건네고 있는 정청래 전 의원. (캡처사진=MBN)

결국 내년 총선까지 버텨낼 수 있을까.

김 원내대표는 “저희 당에 대한 지지율이 그렇게 높지 않은 현실의 가장 큰 원인이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라고 생각한다. 저 당이 내년 총선까지 지금 갖고 있는 가치를 유지하고 거기에 깃발을 꽂고 끝까지 지켜내서 한국 정치개혁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 의문을 갖고 있다”며 “그러나 저희가 심지를 가지고 끝까지 이 깃발을 지켜낸다면 총선이 다가올수록 저희 당의 지지도가 회복될 것”이라고 확신을 보였다. 

이어 “분명 우리나라 정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른미래당의 역할에 대해 (국민이) 평가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바른미래당의 건투를 빌어봐야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