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27주만에 반등…급매물 소진된 양천·송파 등 상승세
지방은 하락세 지속…일산·파주는 낙폭 확대
"국민 54% 올해 집값 보합 전망…부동산정책 긍정 평가 49%"

서울시 마포구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우정호 기자)
서울시 마포구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우정호 기자)

[중앙뉴스=우정호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6개월 여 만에 반등했다. 양천구, 송파구, 서초구 등에서 가격이 오름세를 나타낸 영향이 컸다. 반면 3기 신도시 영향을 받은 일산과 파주 등은 집값 낙폭이 확대됐다.

서울에서는 양천·송파·서초·마포·광진·성동·용산구 등지의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강남구 아파트값도 보합으로 돌아서 강남권을 비롯해 마·용·성 등 서울 전반으로 매매가격 하락폭이 둔화된 모습이다.

경기는 3기 신도시의 영향을 받는 일산 서구(-0.11%), 파주(-0.03%) 등은 집값 하락폭이 커진 반면 개발 기대감이 커진 광명(0.05%), 부천(0.05%), 과천(0.04%) 등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 광역시(-0.01%)는 대전(0.05%), 대구(0.02%)는 상승한 반면, 광주는 전주 대비 보합(0.00%)을 나타냈다. 울산(-0.09%), 부산(-0.04%)은 하락세다. 기타 지방(-0.08%)은 전주와 비슷한 변동률을 나타냈다.

이 가운데 국민의 약 54%가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보합일 것이라고 본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잘했다'와 '못했다'는 의견이 비슷했다.

(자료=KB부동산 리브온 제공)
(자료=KB부동산 리브온 제공)

서울 아파트값 27주만에 반등…급매물 소진된 양천·송파 등 상승세

21일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이 발표한 주간 시황 통계에 따르면 이달 1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1%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3일 이후 27주 만에 상승 반전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1%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전주 대비 상승세로 전환했다. 양천구(0.11%), 송파구(0.08%), 금천구(0.08%) 등 소폭 상승했고, 강서구(-0.08%), 강동구(-0.07%), 동대문구(-0.04%) 등 전주 대비 하락을 나타냈다.

송파구는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급매물이 소진되고 매매가격 상승 기대감이 커진 매도자들 가격을 올려 매물을 다시 내놓거나 거래를 미루고 시장 추이를 지켜보는 중이다. 공시가격 확정으로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등으로 인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유동자금이 강남권으로 몰리는 분위기다.

금천구는 입주 1~2년 미만인 독산동 롯데캐슬골드파크1,2,3차 영향과 라이프아파트 인근 도로 확장 계획 발표로 인해 중소형 단지들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시흥동, 독산동 나홀로 단지들도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져 시세가 소폭 상승했다.

강서구는 적체되어 있던 급매물이 소진되고 매도 호가가 오르고 있으나 추격 매수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매물을 처분하려는 다주택자들로 인해 급매물이 꾸준히 나오는 편이다.

(자료=KB부동산 리브온 제공)
(자료=KB부동산 리브온 제공)

지방은 하락세 지속…일산·파주는 낙폭 확대

경기지역은 광명(0.05%), 부천(0.05%), 과천(0.04%) 등 전주대비 상승을 나타낸 반면, 평택(-0.27%), 고양 일산서구(-0.11%), 안양 동안구(-0.10%), 광주(-0.10%) 등지를 중심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고양 일산서구는 최근 3기 신도시 발표로 투자 심리가 위축돼 거래가 끊기다시피 한 상황이다. 여기에 대규모 입주 물량까지 맞물려 하락세가 지속 중이다.

고양시에는 지난해 6033가구에 이어 2월 고양 향동리슈빌 969세대를 시작으로 2019년 1만3410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인근 파주나 김포지역에도 신규 공급 물량이 대거 이어져 기존주택 급매물이 점차 쌓이고 있다.

안양 동안구는 지난해 조정대상으로 추가 지정되면서 매수세가 위축됐다. 최근 들어 급매 위주의 매수 문의가 늘었지만 대출규제, 세제 강화 등의 영향 때문인지 선뜻 거래로 연결되지는 않는 모습이다.

3월부터 입주한 평촌더샵아이파크 1170여 가구의 영향으로 호계동 일대 노후 단지를 중심으로 매물이 늘고 있다.

광주는 아파트 입주 물량을 비롯해 신축빌라 물량이 꾸준히 공급돼 공급 과잉에 따른 매매가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다주택자의 주택 보유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고, 전세가 하락으로 인해 갭투자 수요가 발붙이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매매거래가 더욱 위축된 상황이다.

(자료=현대경제연구원 제공)
(자료=현대경제연구원 제공)

"국민 54% 올해 집값 보합 전망…부동산정책 긍정 평가 49%"

한편 국민의 약 54%가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보합일 것이라고 본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잘했다'와 '못했다'는 의견이 비슷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3일 발표한 '주택 매매시장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3.6%는 올해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이 0% 수준일 것이라고 봤다.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은 26.4%, 내린다는 응답은 20.0%로 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응답이 더 많았다.

연구원은 지난달 8∼23일 전국 성인남녀 1천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런 분석을 내놨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주택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응답이 많았다.

서울지역 응답자의 43.3%는 주택가격이 오른다고 답해 강원도(35.5%), 광주(34.5%) 등보다 높았다.

올해 주택가격이 오른다고 본 이유로는 지역 내 개발이슈, 대체투자처 부족이 꼽혔다. 반대로 응답자들은 가격 하락 전망 배경으로 신규 공급물량 증대를 첫 번째로 짚었다.

주택을 매수하려는 가구의 경우 대다수가 매수 시점을 2020년 이후로 잡았다.

주택을 사려는 응답자 가운데 73.3%는 2021년 이후를 적정한 시점으로 봤다. 2019년 이내(10.0%), 2020년 상반기(8.0%)·하반기(8.7%)는 비중이 작았다.

주택을 팔겠다고 응답한 이들의 53.0%도 2021년 이후를 적정 시점이라고 봤다. 다만 올해 안(25.5%), 내년 상반기(12.8%)·하반기(8.7%)가 적정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매수하려는 시점과 매도하려는 시점 사이 미스매치가 존재하는 셈이다.

(자료=현대경제연구원 제공)
(자료=현대경제연구원 제공)

정부 정책을 두고는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비슷한 비중을 나타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를 두고 '매우 잘하고 있다'(6.3%), '잘하고 있다'(42.7%) 등 긍정 평가는 49%였다.

반면 '매우 못하고 있다'(11.4%)와 '못하고 있다'(39.6%) 등 부정 평가는 51%였다.

가구 특성별로 보면 무주택자일수록 긍정 평가가 앞섰다. 무주택 응답자의 54.7%가 긍정적인 평가한 반면, 1주택자의 52.6%와 다주택자의 56.1%는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정책별로 보면 응답자들은 정책 중 '실수요, 무주택자에 대한 금융지원'과 '양도세 및 보유세 인상' 순으로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재건축 규제 강화를 긍정적으로 본 응답자들은 적었다.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두고는 정부가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대출 규제 등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정부의 주택 매매시장에 대한 정책들이 가격 안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 매매 지원 기조를 유지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 안정화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