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자료=여성가족부 제공)
(자료=여성가족부 제공)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늘면서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여성이 43.5%로 나타났다.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공동 발표한 '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2018년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여성의 비율이 (43.5%)로 남성(52.8%)보다 낮고, 이는 98년 67.9%, 08년 61.6%, 18년 43.5%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결혼하지 말아야 한다는 여성 비율도 3.8%로 남성 2.3%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20년 전(1.6%) 대비 2배 이상 상승했다.

특히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여성 비율도 50.8% 를 차지했으며 남성은 결혼을 해야 한다는 비율 52.8%를 차지했다.이혼에 대해서도 할 수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여성의 비율이 49.3%로 20년 전 대비 증가했다. 반면,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여성의 비율은 28.6%로 20년 전 대비 감소했다.

이처럼 결혼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줄고 이혼에 긍정적 생각이 늘면서 출생아 수는 감소했다. 지난해 총 출생아 수는 32만6,900명으로 전년 대비 8.6% 감소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 출산율도 지난해 0.98명으로 2017년(1.05명) 대비 낮아졌다.

반면 여성의 초혼연령은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018년 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30.4세로 남성(33.2세)에 비해 2.8세 적었다.

(자료=여성가족부 제공)
평균 초혼연령 및 초혼부부 혼인건수 (자료=여성가족부 제공)

이는 1990년 이후 상승으로, 2015년에 30.0세로 30대에 진입한 이후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남성도 90년대 이후 상승했다.

여성이 연상인 부부는 2018년 초혼부부의 총 혼인건수 20만 건 중  17.2%로 2014년 이후 동갑내기 혼인건수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이혼건수는 감소했으나  20년 이상 함께한 부부의 이혼 비중은 증가 했다.  2018년 총 이혼건수 10만8천7백건으로 전년(10만6천건)보다 2.5% 증가하였으나, 2014년(115,5건) 이후 감소했다.

이혼 비중은  2011년까지는 혼인지속 기간이 4년 이하인 부부의 이혼건수가 가장 많았지만 2012년 이후부터는 20년 이상 함께한 부부의 이혼건수가 가장 많았다.

한편 여성 사회 진출이 늘면서 전체 여성의 절반가량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임금 근로자 중 41% 이상이 비정규직으로 남성에 비해 고용형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집계됐다.지난해 기준 여성 고용률은 50.9%로 1년 전(50.8%)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남성 고용률은 전년 대비 0.4%포인트 하락한 70.8%로, 남녀 간 고용률 차이는 19.9%포인트였다. 고용률의 남녀 간 차이는 2003년 24.7%포인트까지 벌어졌지만 여성 고용률이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20%포인트 아래로 떨어졌다.

여성 고용률의 연령대는 25~29세에서 70.9%로 가장 높았으며 45~49세(68.7%), 50~54세(66.8%), 30~34세(62.5%), 55~59세(60.4%) 등의 순이었다. 이는 10년 전과 비교 20~24세, 40~44세 고용률은 하락했지만, 다른 연령대에선 모두 올랐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