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시간대 최다 붐비는 지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출퇴근 시간대 전철역 혼잡도 변화 (사진=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출퇴근 시간대 전철역 혼잡도 변화 (사진=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일과 생활의 균형을 뜻하는 워라벨이 확산되면서 최근 직장인들의 출퇴근 패턴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의 출근 시간이 늦어진 반면 퇴근 시간은 빨라졌다. 또한 ‘직주근접’ 선호현상이 두드러졌다.

최근 KEB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공공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서울시 직장인의 출퇴근 트렌드 변화를 연구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서울시 직장인의 출근 시간은 늦어지고 퇴근 시간은 빨라졌다. 특히 거주지와 직장이 동일한 지역인 직장인이 51%에 달하는 등 ‘직주근접’ 선호현상이 두드러졌다.

또한 최근 10년간 가산디지털단지와 합정, 홍대입구역의 출퇴근 혼잡도가 크게 증가한 반면, 청량리역과 삼성역 등은 혼잡도가 감소했다.

이에 연구소는 “출근 시간대 지하철 승하차 비중 분석을 통해 서울의 오피스 타운과 베드 타운 측정 결과로 향후 상권 및 부동산 시장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라며

“2008년 약 29억건, 2018년 약 31억건의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 데이터 분석을 통해 10년 전에 비해 서울시 직장인의 출근 시간은 대체적으로 늦어진 반면, 퇴근 시간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업무지구별 특성에 따라 출퇴근 시간 변화가 차별화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남권 지역의 경우 07시대 출근 비중이 2008년 대비 4.8%p 높아졌지만, 동남권은 09시대 출근 비중이 5.8%p 높아졌다. 반면, 퇴근 시간은 모든 지역에서 19시 이전 퇴근 비중이 급격히 늘어났고 시청지구 직장인의 18시대 퇴근 비중이 10년 전에 비해 6.8%p 높아져 42.8%에 달했다.

2호선 이용한 출퇴근 최다 지역 (자료 하나금용연구소 제공)
2호선 이용한 출퇴근 최다 지역 (자료 하나금용연구소 제공)

구로 가산 디지털단지 직장인들은 10년 전과 비교해 09시대 출근 비중이 5.3%p 늘고, 19~20시대 퇴근 비중이 8.9%p 감소해 출퇴근 시간 변화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 밖에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 변화 조사에서는 가산디지털단지와 여의도, 합정, 홍대입구역의 출퇴근 시간 유동인구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삼성, 선릉, 강변, 청량리역의 유동 인구는 감소했다.

특히 가산디지털단지는 출근 시간대 하차 인원이 가장 많아 2008년 당시 상위권이었던 강남역과 선릉역을 제쳤다.

이와 관련하여 출근 시간대에 승차 인원 비중이 높은 곳을 '베드 타운', 하차 인원 비중이 높은 곳을 '오피스 타운'이라 가정할 때, 까치산 및 장암역이 승차 비중 88%에 이어 마들(87%)과 신정(86%), 쌍문역(8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을지로입구역은 출근 시간대 승차 비중이 5.6%, 즉 하차 비중이 94.4%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으며, 종각과 국회의사당역의 하차 비중은 94.2%, 다음 시청(94%), 광화문역(93%) 등의 순이었다. 

하나연구소는 “오피스 타운이 밀집한 지역 특성이 지하철 이용 인구에 반영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며“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의 하루 평균 출퇴근 소요 시간은 1시간 8분으로, 10년 전 1시간 9분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는 반면, 거주하고 있는 지역 내에서 통근하는 직장인은 출퇴근에 평균 42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