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대전대 교수
김필수 대전대 교수

[중앙뉴스=김필수]자동차의 역사는 160년이 넘는다고 할 수 있겠다. 내연기관차의 역사가 약 130여년이지만 그보다 앞서서 전기차가 운행됐으니. 당시의 기술적인 한계로 내연기관차가 주도권을 쥐었지만 현재는 다시 전기차의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그만큼 최근의 자동차의 향방은 급격히 ‘움직이는 가전제품’이나 ‘움직이는 생활공간’이라고 할 정도로 급변했다. 특히 자율주행차 등 다양성이 더욱 커지면서 기존의 자동차의 개념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앞으로만 보고 진행하다보니 과거를 보며 전통을 기반으로 미래를 보는 시각이 없어져 더욱 걱정이라는 뜻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동차 개발에 압축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제대로 된 자동차 문화가 결여된 데다 자동차 박물관 하나 없어 문화적 측면에서 자동차 후진국이라 할 수 있겠다.  

독일 등 선진국은 자동차 역사와 함께 한 국가인 만큼 자동차 역사를 통한 다양성과 문화적 공감대가 매우 큰 국가이다. 제작사별로 자부심 강한 박물관이 즐비하고 100년 된 클레식 카를 통하여 과거를 찾고 이를 다시 승화시키는 작업도 하면서 신개념 사업 모델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 영국,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이고 자동차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모든 제작사의 박물관을 중심으로 자사 브랜드 이미지 극대화와 자부심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클래식 카 문화가 자동차 소비자 트랜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각종 클래식 카 전시회는 물론 클래식 카 퍼레이드, 복원 기술과 클래식 카 부품 공급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도 다양하게 창출되어 풍성한 자동차 문화와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는 과거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된 자동차 기술역사에 경험 없는 짧은 자동차 문화로 인해 클래식 카 문화는 아예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나마 삼성화재교통박물관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개인적으로 한정된 제주 자동차 박물관이 있을 뿐, 전국 지자체별로 몇 대씩 보유하는 전시행정에 머물러 있어 안타까운 실정이다.

국내를 대표하는 현대차 그룹의 경우도 여전히 자동차 박물관이 없고 현재 건축 중인 본사의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내에 박물관도 수년 이상은 기다려야만 하는 실정이다. 그러니 국내는 아예 클래식 카 관련 단체도 없고 전시회, 세미나는 물론 거래 문화도 없어서 완전 불모지라 해도 과하지 않다. 

더욱이 해외에서 구입된 클래식 카도 정식으로 수입 할 수 없어 완구제품으로 들여오다 보니 번호판 하나 못 붙여 길거리 운행을 못하는 절름발이 상태에 놓여있다. 여기에 정책적인 배려도 전혀 없어 클래식 카 존재 관련 규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리어 미세먼지 문제 등으로 모든 문제가 자동차에 있는 양 마녀 사냥식으로 애꿎게 자동차를 몰다보니 환경적인 규제만 까다로워져 클래식 카의 배기기준으로는 지키기도 어렵다. 

즉, 길거리에 끌고 나올 수 있는 자격 부여 자체가 없다는 것이다. 독일 등은 클래식 카를 공로 상에서 운영할 수 있는 별도의 환경 기준을 만들어 운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문화적 활성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반면 우리는 아예 관련 규정은 물론 인식조차 되어 있지 않다.

클래식 카는 20~30년 이상 된 역사적 의미나 희소가치 등 의미부여를 한 차종이다. 따라서 가격적 측면의 고부가가치로 일반적인 차량으로 운행하기 어렵다. 봄, 가을 좋은 날씨에 오랜 만에 길거리로 가지고 나와 상태 점검과 내구성을 검증하는 정도다. 일각에서 우려하는 대기오염 물질 배출 등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이다. 

어쨌거나 과거는 없고 앞만 보다보는 우리의 자동차 현실에 그나마 남아있는 클래식 카의 관리는 물론 보존 상태가 심각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환경 규제를 두어 클래식 카는 인정도 않고 관련 법규도 없어 클래식 카 거래인 옥션 등은 생각도 못하는 상황이라 심각성은 크다. 근대 문화재로 지정된 약 20점의 클래식 카도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지원조차 없어 그 운영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점 역시  안타깝다.

현재도 역사적 가치가 높은 예비 근대 문화재가 즐비하나 어느 구석에서 녹이 슬고 썩어가는지 모르는 상황이다. 당연히 비용으로 따지기 힘든 부가가치가 높은 차종이 많다는 점을 인식했으면 한다.

클래식 카 문화는 과거로만 생각하지 말고 과거의 자부심과 다양한 배경을 바탕으로 미래를 다시 보게 하는 거울이다. 과거가 없는 사회는 미래도 없다는 사실을 항상 인지했으면 한다. 우리는 앞만 보고 정신없이 달려왔고 지금도 앞만 보고 달리고 있다는 걸 말하는 것이다. 

‘과거를 모르고 조상을 모르는 사회는 미래가 없다’라는 사실을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과거로의 여행이 미래를 위하여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가 이러한 분야의 핵심 분야라 할 수 있다.  
  
▲ 김 필 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