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동 아시아나항공 본사 (사진=우정호 기자)
공항동 아시아나항공 본사 (사진=우정호 기자)

[중앙뉴스=우정호 기자] 국내 항공업계 투톱 중 하나인 아시아나의 새 주인이 누가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오후 2시를 기점으로 아시아나 예비입찰이 마감된다.

애경산업과 사모펀드 KCGI가 관심을 드러낸 가운데 미래에셋이 오늘 예비입찰 신청을 완료했다. GS그룹이나 SK그룹 등 대기업의 깜짝 등 참여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최근 항공산업 전체가 각종 악재로 크게 위축되는 상황이어서 인수전 흥행에 관해 재계에서는 엇갈린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호산업과 매각 주간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은 3일 오후 2시 아시아나항공 예비입찰을 마감한다.

이번 매각은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주식 6천868만8천63주(지분율 31.0%·구주)와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보통주식(신주)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이를 통해 아시아나항공의 경영권을 잠재투자자에게 이전한다.

구주 인수대금은 4천500억원 수준이며 여기에 신주 발행액에 경영권 프리미엄(20∼30%)까지 얹으면 인수에 1조원 이상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자회사까지 '통매각 방식'하는 것이 원칙이어서 매각 가격은 1조5천억원 안팎까지 늘어날 것으로 시장에서는 예상하고 있다.

통상의 경우처럼 금호산업과 CS증권은 이날 예비입찰 마감 후에도 입찰 참여자를 공개하지 않을 방침이다.

(로고=각 사)
(로고=각 사)

누가 인수하나?…애경‧KCGI에 미래에셋 깜짝 참여

지금까지 직·간접적으로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관심을 보인 기업은 제주항공을 보유한 애경그룹과 사모펀드 KCGI 정도다.

여기에 전날 미래에셋대우가 재무적투자자(FI)로서 인수전에 뛰어들기 위해 GS그룹과 현대산업개발 등과 컨소시엄 구성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막판 변수로 떠올랐다.

SK, CJ, 한화 등 주요 대기업 그룹이 아시아나 인수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시장은 예상했으나 이들은 예비입찰 당일까지도 '인수에는 관심이 없다'며 선을 긋고 있다.

예비입찰 후 적격인수후보(숏리스트)를 선정하고 기업실사를 거쳐 본입찰을 실시한다는 점에서 연내 매각성사가 달린 중요한 분기점이다.

아직 애경그룹과 KCGI(강성부 펀드) 외에 입찰참여를 공식 밝힌 곳은 없지만 보통 마감 직전 인수의향서(LOI) 접수가 몰린다는 점에서 대기업 참여 가능성이 아예 없지는 않다.

이 경우 침묵을 지키고 있던 GS그룹과 SK그룹이 깜짝 인수후보로 등장할 수도 있다.

특히 GS그룹이 참여한다면 SK그룹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는 분석이다. GS그룹도 에너지 및 정유 관련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데 아시아나를 뺏기게 되면 SK그룹 입장에서는 그동안 우위를 점하던 항공유 시장 점유율을 GS에 내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한편 미래에셋대우가 인수전에 가세해 예비입찰 하루 전날까지 부진하던 인수전의 판이 커질 전망이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가 3일 예정된 아시아나항공 매각 예비입찰에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한다.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이 최근 아시아나항공 매각 주간사인 크레디트스위스증권 고위관계자와 만나 인수전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미래에셋대우가 합종연횡할 기업으로 현대산업개발이 유력할 것으로 본다. 특히 현대산업개발은 지난 2015년부터 호텔신라와 손잡고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어 항공사 인수에 따른 사업 시너지도 기대할 수 있다.

(사진=아시아나 항공 제공)
(사진=아시아나 항공 제공)

항공업계 부진에도 아시아나 인수전 흥행할까?

최근 항공업계 부진에도 아시아나항공은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여전히 매력적인 매물로 꼽힌다.

아시아나 인수에 성공하면 국내 대표 항공사의 영업망을 손에 쥘 수 있고 진입문턱이 높은 항공사업에 진출할 길도 열린다.

규제산업으로 꼽히는 항공산업이 그 특성상 신규 진입이 어려운 분야인 데다가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30년간 쌓아온 노하우도 짧은 시간 안에 구축하기 어려운 자산이라는 평가다.

최근 일본 여행 보이콧 운동과 중국의 신규 운수권 제한, 국내 항공산업의 공급과잉 등이 악재로 꼽히지만, 이 같은 '위기'도 항공업계에는 낯선 일이 아니라는 말도 나온다.

과거 2011년 동일본대지진,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사태, 2017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논란 등 위기가 상존했지만, 이런 위기 속에도 항공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국내 항공 이용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6% 증가한 6천156만명을 기록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또, 아시아나 계열사인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등도 함께 인수할 수 있다. 차후 계열사 별도 매각 등을 고려한다면 나쁜 조건은 아니다.

다만 아시아나의 불안한 재무구조가 입찰을 고민하게 만든다는 분석도 있다.

2분기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는 총 9조5천988억원 규모에다 2분기 1000억이상의 영업적자를 봐 새 주인이 신주 인수를 통해 자금을 투입하더라도 적지 않은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아시아나가 보유한 항공기 86대 중 12대를 제외한 대부분이 리스(임대) 항공기여서 재무적인 압박이 심한 구조라는 지적도 있다.

아시아나가 현재 리스계약에 따라 1년 안에 지급해야 할 운용리스료만 9천억원에 육박한다.

이에 인수전 흥행에 관해 재계에서는 엇갈린 전망이 나오고 있다. 만에 하나 예비입찰 결과가 생각보다 저조할 경우 연내매각이 물 건너갈 가능성도 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