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수종 식재 등 환경 및 기후변화에 대비한 창의적인 녹색쉼터 조성

서울시의 72시간 프로젝트를 통해 주민의 휴식공간으로 변한 종로구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의 72시간 프로젝트를 통해 주민의 휴식공간으로 변한 종로구 (사진=서울시 제공)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마을 속 생기 없던 공터, 주택가 낡은 마을마당이 활력 넘치는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변모했다. 성동구 금호동 공터 등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던 버려진 자투리 공간도 가파른 언덕 위 영화 같은 명장면을 찾아 시민을 위한 녹색쉼터로 바뀌었다.

서울시는 특별히 시민이 직접 대상지에 적합한 주제를 찾아 보다 실험적이고 참신한 계획을 할 수 있도록 “자투리땅에서 00를 찾아라!”라는 주제로 진행한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를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8월 22일 12시부터 25일 12시까지 3일 밤낮 동안 펼쳐진 이 프로젝트를 통해 활용 가능성이 있지만 비어있었거나 시민들에게 잊혀졌던 서울시, 구 소유 자투리 공간 7곳이 시민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로 72시간 만에 녹색쉼터로 새로 태어나게 됐다.

특히 모든 작품에는 미세먼지 저감수종인 산딸나무, 조팝나무, 호스타, 맥문동, 수크령 등을 집중 식재하여 도시환경 문제해결에 기여하면서도 시민의 사랑을 듬뿍 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재구성했다. 

7개 팀으로 구성된 총인원 88명은 도심번화가 주변 2개소(종로구 관훈동 자투리녹지대, 성동구 금호동 공터), 주민맞이공간 3개소(동대문구 휘경동 가로변 쉼터, 강북구 삼각산동 자투리녹지대, 도봉구 도봉동 가로변 쉼터), 주민생활공간 2개소(은평구 녹번동 가로변 쉼터, 양천구 신월동 마을마당)에서 작업을 진행했다. 

72시간 도시재생 프로젝트 개막식 현장 (사진=서울시 제공)
72시간 도시재생 프로젝트 개막식 현장 (사진=서울시 제공)

이 가운데 우주정복 디자인 그룹 ALIVEUS와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들이 모인 ‘솔화백팀’은 종로구 북인사마당의 소나무가 심겨진 자투리녹지대에  화강석 앉음돌과 꽃으로 연출된 쉼터를 만들었고, ‘Lucete팀’은 성동구 금호동 언덕 아무것도 없던 자투리땅에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녹색쉼터를 조성하여 도시경관에 색다름을 더했다.

제이드가든 정원사들과 조경학도가 모인 ‘제기발랄팀’은 동대문구 휘경동 자투리땅을 작은 온실정원으로 바꾸어 도심 속 작은 식물원을 조성했고 공주대의 ‘ITLs팀’은 강북구 대상지내 방치된 불당골 비석의 가치를 재발견하여 지역 이야기를 담은 가로쉼터를 만들었다.

77년생부터 99년생까지 폭넓은 연령층이 힘을 모은 ‘도봉79’팀은 도봉구의 도봉산 입구에 위치한 만남의 광장을 마중다락원같은 공간으로 제공, ‘공간크리에이터팀’과 ‘새벽녘팀’ 등은 주택가 낡은 마을마당에 지역주민을 위한 커뮤니티공간으로 만들었다.

서울시는 인근 주민의 반대 등 돌발상황도 있었지만 오히려 그 과정에서 팀원들이 더욱 일치단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주민들은 무더운 날씨 속에서 구슬땀을 흘리며 열정을 다해 작품을 조성해가는 이들에게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고 전했다.

성동구 시민 박현주 씨는 “이 지역이 오르막길이 너무 심해서 올라올 때 너무 힘들었는데 중간에 쉬어갈 수 있는 쉼터가 생겼다”며 “이런 쉼터가 72시간 만에 생겼다는 것이 믿기지 않지만 잠시 쉬며 동네 경치를 바라볼 수 있어 좋을 것 같다”라고 의견을 전했다.

최윤종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폭염 속에서도 소외된 공간을 활력있는 공간으로 변모시킨 시민들의 뜨거운 도전과 열정에 박수를 보낸다.”며 “올해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가 무사히 진행될 수 있도록 많은 협조와 도움을 주신 지역 주민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