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스헬기 작전운용 대함용에서 대잠용으로 전환 필요!
해외구매 무기체계 수급 문제까지 고려했어야

[중앙뉴스=박광원 기자]해상에서 적의 함정(대함)과 잠수함(대잠)의 위치를 파악해 작전을 수행하는 해군 주력헬기 ‘링스헬기’의 대함유도탄(시스쿠아)의 절반가량이 결함으로 사용할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막대한 예산이 낭비된 것은 물론, 해군 해상작전운용에 차질이 불가피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병기 의원
김병기 의원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국방부와 해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군이 보유한 대함유도탄 88발 중 44발이 정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링스헬기 한 대당 4발의 유도탄이 장착 가능한 것을 감안하면, 전체 링스헬기 22대 중 절반인 11대가 대함유도탄 없이 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셈이다.

대함유도탄은 지난 2016년에는 2발의 결함이 발생하기 시작해 2017년 6발, 2018년에는 무려 38발의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단 2발만 정비 완료되고 나머지 44발은 정비 불가 판정을 받았다.

정비 불가 판정을 받은 44발의 고장원인은 모두 로켓모터 불량인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에서 제조된 대함유도탄은 이미 2000년대 초반 생산 중단됐고, 제조업체 또한 폐업한 상태여서 정비가 불가능했다. 해군은 2016년 첫 고장 발생 때부터 교체나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대함유도탄 한 발당 가격이 5억 1천만 여원에서 9억 2천만 여원에 달해, 해군은 최소 수백억 원의 예산을 낭비한 셈이 되었다.

링스헬기는 장비나 무장에 따라 대함 또는 대잠용으로 모두 운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국방부는 링스헬기를 대잠용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며, 해군은 중․장기적으로 새로 도입될 해상작전헬기 기종에 맞는 대함유도탄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김병기 의원은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 해외에서 구매하는 무기들은 단종 또는 폐업 시 수급 문제까지도 고려했어야 했는데, 해군은 이에 대한 대책이 부족했다”며, “임무나 작전운용에 있어 우선순위를 따져서 링스헬기를 대함용이 아닌 대잠용으로 전환하는 것까지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