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 쪽방촌 1만㎡ 공공주택사업 추진
영구임대, 신혼부부 행복주택, 민간분양 등 1.2천호 공급

1970년대 집창촌, 여인숙 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영등포 쪽방촌이 50년 만에 주·상·복지타운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사진=신현지 기자)
1970년대 집창촌, 여인숙 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영등포 쪽방촌이 50년 만에 주거·상업·복지타운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사진=신현지 기자)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그동안 정비 추진에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던 영등포 쪽방촌이 50년 만에 주·상·복지타운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20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1970년대 집창촌, 여인숙 등으로 형성되었던 영등포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국토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영등포 쪽방촌 정비는 공공주택사업으로 추진되며 영등포구․LH․SH가 공동 사업시행자로 23년 입주를 목표로 한다. 이에 쪽방은 철거되고 쪽방 일대 총 1만㎡ 부지에 건물 4동이 들어서 쪽방주민들 재입주의 공공임대주택과 분양주택 등 총 1.2천호의 주택이 공급된다.

사업구역은 2개 블록으로, 복합시설1에는 쪽방주민들을 위한 영구임대주택 370호와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을 위한 행복주택 220호를, 복합시설2에는 분양주택 등 600호를 공급한다.

영구임대단지에는 쪽방 주민들의 자활․취업 등을 지원하는 종합복지센터를 도입하고, 무료급식․진료 등을 제공한 돌봄시설도 재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행복주택단지에는 입주민과 지역주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도록 국공립 유치원, 도서관, 주민카페 등 편의시설도 설치할 계획이다.

사업기간 중에도 쪽방주민과 돌봄 시설이 지구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先이주 善순환‘ 방식을 적용한다. 이에 지구 내 우측에 이주단지(기존건물 리모델링 등)를 조성하여 사업 기간 중에 쪽방 주민이 임시 거주하고, 공공주택이 건설되면 돌봄시설과 함께 영구임대주택으로 함께 이주한다.

이후 영구임대주택 입주가 완료되면 先이주단지를 철거하고 나머지 택지를 조성하여 민간에 분양한다.

또한,토지 소유자에게는 현 토지용도(상업지역), 거래사례 등을 고려하여 정당보상 할 것이며, 영업활동을 하는 분들께는 영업보상, (임대)주택단지 내 상가 등을 통해 영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그동안 영등포 쪽방촌은 1970년대 집창촌, 여인숙 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 과정에서 밀려난 도시 빈곤층이 대거 몰리면서 최저주거기준에도 못 미치는 노후불량 주거지로 자리 잡았다.

현재 360여명이 거주 중이며, 평균 22만원의 임대료를 내고도 단열, 단음, 난방 등이 취약하고 위생상태도 매우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여있다. 무료급식소, 무료진료소 등에서 쪽방 주민들을 지원하고 있지만, 화재, 범죄 등의 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으며 알코올 중독, 우울증과 같은 질병으로 인한 자살이나 고독사도 발생하고 있다.

쪽방 문제 해결을 위해 리모델링 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나, 워낙 노후되어 효과가 미미하고, 쪽방 개량이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져 기존 주민이 쫓겨나고 그 빈자리에 새로운 쪽방주민이 유입되는 등 빈곤의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다. 지난 15년  토지주를 중심으로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추진 하였으나 쪽방주민 이주대책 등이 부족하여 사업이 중단된 바 있다.

이에 영등포구청은 쪽방 주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쪽방촌 정비를 국토교통부에 건의하였고, 국토교통부·서울시·영등포구·LH·SH는 TF를 구성하여 ‘쪽방촌 정비 계획’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시행자로 참여하는 영등포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영등포 쪽방촌 정비’를 위한 MOU를 체결하며, 무료급식·진료 등을 통해 쪽방주민을 지원하고 있는 민간단체도 참여한다.

한편 쪽방촌은 현재 전국에 서울 5곳, 부산 2곳, 인천ㆍ대전ㆍ대구 각 1곳 등 10개가 있으며 국토부는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나머지 4개 쪽방촌 중 돈의동 쪽방촌은 도시재생사업과 주거복지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며, 서울역·남대문·창신동 쪽방촌은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서울 이외 쪽방촌은 도시재생사업 연계 등 다양한 사업방식을 적용하고, 연내 1∼2곳에 대한 지자체 제안을 받아 대상 지역을 선정하여 지자체와 함께 정비해나간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