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심론? 독자 행보?
교섭단체 구성? 
실익보다 손해가 더 커

[중앙뉴스=박효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 더불어시민당은 13일 합당 절차가 마무리 됐지만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 미래한국당은 독자 행보로 가겠다는 시그널을 강하게 주고 있다. “정무적 판단”을 내세우고 있지만 총선 전 일각에서 거론됐던 ‘야심론’이 작용하는 것은 아닌지 주목된다. 

13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원유철 한국당 대표는 “통합당과의 합당 시기는 정무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만큼 오는 29일까지인 대표 임기가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당헌을 수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원유철 대표는 미래한국당의 지도부 임기를 연장할 계획이다. (사진=연합뉴스)

원래 한국당은 어디까지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치러지는 이번 총선용에 불과했다. 그래서 당헌 부칙에 총선 직후 통합당과의 합당을 전제로 지도부의 임기를 5월29일로 픽스해놨다. 하지만 원 대표는 이번 총선에 불출마한 5선 의원으로서 이대로 한국당을 끝내기는 아쉬웠는지 19일 전당대회를 개최해 지도부의 임기를 연장할 계획이다. 

원 대표가 내세운 명분은 △통합당 당권 지도부의 공백 장기화 △공수처장(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선임 문제 등 2가지다. 

신임 주호영 원내대표가 통합당의 당대표 권한대행까지 맡게 됐지만 당장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갈지, 조기 전당대회로 갈지, 김종인 비대위로 갈지, 다른 비대위로 갈지에 대한 결정이 단기간에 이뤄지기는 어렵다. 당연히 통합당 지도부의 공백 상태가 길어지면 한국당과의 합당 절차도 계속 미뤄질 수밖에 없다.

원 대표는 이번주 안에 주 원내대표와 만나서 향후 스케줄을 논의할 계획이지만 당분간 독자 행보로 갈 수밖에 없음을 어필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선 전 정치평론가들은 거대 정당 내부에서도 의원들이 하나로 통솔되지 않는데 바깥으로 나가면 더더욱 독자 논리로 굴러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 바 있다. 더구나 민주당처럼 당세가 잘 나가거나 리더십이 살아있으면 하나로 뭉칠 수 있지만, 통합당처럼 난국일 때는 구심력보다 원심력이 더 크게 작용한다. 

한국당은 공수처장 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추천권,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21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협상 등을 고리로 뭔가 실익을 노리는 모양새다. 하지만 177석의 민주당이 관행으로 이뤄졌던 원구성협상을 ‘법대로’ 상임위원장 표결 배분으로 갈 수 있다는 카드를 암시하고 있어서 쉽지 않다. 법대로 표결하면 민주당이 18개 상임위원장을 전부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수처장 추천위 위원 추천권의 경우 야당 몫이 2명인데 통합당이 1명을 갖고 또 다른 교섭단체가 1명을 갖게 된다. 한국당 당선인은 현재 19명이기 때문에 20명으로 만드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추천위 정원 7명 중 6명의 동의로 공수처장 후보 2명을 정하고 이중 1명을 문재인 대통령이 선택하는 구조에서 야당 몫 2명을 통해 비토권을 행사할 수 있다. 한국당이 교섭단체를 구성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존재만 하더라도 민주당, 통합당 다음으로 의석이 많아서 추천권 1명을 갖게 될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이 원구성협상 강공 카드를 쥔 상태에서 한국당이 공수처장 딱 하나의 이익으로 위험을 감수할지는 두고볼 일이다. 
 
원 대표는 “(한국당이) 독자 행보로는 할 수가 없다. 형제 정당인 통합당과 함께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안철수 대표의 국민의당과의 연대 및 무소속 당선인을 통한 교섭단체 구성에 대해)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발언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