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밈장식 일체, 비화가야 고분서는 첫 사례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 장신구와 유사
비화가야 성격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

63호분 주변 고분 전경(사진=문화재청)
63호분 주변 고분 전경(사진=문화재청)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4~5세기 창녕 일대에서 번성했던 비화가야의 지배층의 무덤이 열려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해 도굴된 적 없는 것으로 확인이 돼 화제를 모았던 창녕 가야 63호 고분에서 비화가야의 최고의 지배층의 몸을 꾸몄던 금동관‧은반지‧은허리띠 등 장식품이 무더기로 출토됐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교동 Ⅱ군 63호분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해 비화가야 지배자의 꾸밈유물인 금동관을 비롯한 장신구 일체를 확인하였다고 28일 밝혔다.

이들 유물이 출토된 63호분의 석곽은 길이 640㎝, 너비 130㎝, 깊이 190㎝의 규모로, 피장자의 머리 방향은 남향이다. 피장자 주변에서 목질흔(木質痕)과 꺽쇠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상자형 목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피장자의 머리 위쪽에는 토기들과 철제유물들이 매납된 부장공간이, 피장자의 발치 아래에는 바닥을 약 40㎝ 정도 낮춘 순장 공간(길이 220㎝, 너비 130㎝)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장신구 유물은 높이 약 21.5㎝의 금동관과 관에 드리운 금동 드리개와 금동 막대장식, 굵은고리귀걸이 1쌍, 유리구슬 목걸이, 은반지들과 은 허리띠 등 지배자 몸에 둘렀던 상태의 꾸밈유물 일체로, 신발이 발견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지난 9월 발굴돼 큰 화제가 되었던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장신구 일체와 비슷한 구성이다. 

63호분 석곽 내 피장자 꾸밈유물 (사진=문화재청)
63호분 석곽 내 피장자 꾸밈유물 (사진=문화재청)

또한, 피장자 발치 바닥을 약 40㎝ 정도 낮춘 공간(길이 220㎝, 너비 130㎝)이 확인되었는데, 2명의 순장자가 안치된 공간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는 순장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일부와 다리뼈 일부 등도 같이 확인되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의 묘역인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중에서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산5 일원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를 시행해 왔다. 2019년 11월에 39호분의 봉토에 가려져 도굴되지 않은 63호분의 매장주체부를 열었으며, 이후 올해 피장자의 몸을 장식했던 금동관 등 꾸밈유물 일체를 확인한 것이다.

63호분 뚜껑돌 4매 제거 후 모습(사진=문화재청) 

출토된 장신구들은 피장자에 부착했던 상태대로 발견, 머리 부분에서는 금동으로 만든 관이, 양쪽 귀부분에서는 금으로 만든 굵은고리귀걸이 1쌍이 확인되었고, 목과 가슴에는 남색 유리구슬을 3~4줄로 엮어서 만든 구슬 목걸이가, 허리에는 은으로 만든 허리띠가 있었다. 손 부분에서는 은반지들이 확인되었다. 피장자의 몸을 장식한 꾸밈유물 일체가 온전히 확인된 것은 비화가야의 최고 지배층 고분에서는 최초의 사례다.

문화재 연구소에 따르면, 금동관은 가장 아래에 관테가 있으며, 그 위에 3단으로 이루어진 3개의 나뭇가지 모양 장식을 세운 형태다. 관테 아래는 곱은옥과 금동구슬로 이루어진 금동드리개가 양쪽에 있고, 관테 양 측면에는 원통형의 금동막대 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세움장식 밑면에는 관모로 추정되는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는 상태였다.

허리부분 장식 은허리띠에는 2개의 은장식 손칼과 띠끝장식이 드리개로 덧붙여진 형태이다. 양손 부분에서는 각각 1개(오른손)와 3개(왼손)의 은반지가 확인되었고, 피장자의 오른 팔뚝 부분에서는 팔찌나 손칼 장식으로 추정되는 원형금판에 연결된 곱은옥과 주황색 구슬들도 확인되었다.

문화재 연구소 관계자는 “지금까지 비화가야 지역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진행된 약탈과 도굴로 인해 당시 지배계층의 상징물이었던 금동관의 일부 편과 장신구만이 확인되었을 뿐 그 전모를 알 수 없었다”며“ 이번 조사로 비화가야 무덤의 축조기법과 장송의례를 이해하고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11월 5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 발굴 당시 녹화한 동영상을 공개하고 온라인 발굴조사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