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연동제 확대와 제도개선으로 수거 안정화 추진
발포합성수지 재활용시장 감독 강화

수도권 지역 공동주택의 재활용품 수거 장면(사진=중앙뉴스DB)
수도권 지역 공동주택의 재활용품 수거 장면(사진=중앙뉴스DB)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지난 3월부터 전국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재활용품 수거 가격연동제 적용률이 43.4%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3일 기준, 전국 공동주택 가격연동제적용 현황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국 모든 공동주택 단지 중 공공수거 또는 가격연동제 등으로 수거 안정화율이 88.8%라고 밝혔다.

다만,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천구, 강북구 등 9개 자치구, 인천광역시 남동구, 부평구, 연수구 등 6개 자치구 등 전국 26개 기초지자체에서 수거안정화율이 6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 150세대 이상 단지(전국 1만8503개)의 가격연동제 적용률은 43.4%(8030단지)이다. 150세대 미만 단지(1만2235세대)는 지자체에서 처리한다.

참고로 가격연동제란 민간수거업체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 대금을 재활용품의 시장가격과 연동되도록 조정해 수거업체의 경영수익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환경부는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발생한 올해 3월부터 전국 공동주택 단지에 가격연동제를 적용을 독려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지자체별 가격연동제 및 수거안정화율 비교(사진=환경부)

이에 따라 수거업체가 공동주택에 납부하는 재활용품 수거 대금도 전국 평균으로 42.8% 인하됐다. 환경부는 가격연동제는 법령상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재활용시장 안정화 정책의 일환으로 각 공동주택 단지 입주자 대표 협의회 등이 수거에 대한 예방 차원에 적극 협조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환경부는 재계약 시점의 미도래수거대금의 1년분 선지급 등으로 가격연동제가 적용되지 못한 단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적용 확대를 지속 독려할 예정이다. 아울러, 가격연동제가 법적으로 구속력이 없는 권고사항인 점, 최고입찰제 방식의 재계약 규정에 의해 재계약 시 수거대금이 재인상되는 점 등을 제도 개선으로 보고 고시 개정 요청 등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최근 발포합성수지(스티로폼) 품목의 경우 비대면소비, 택배물량 증가로 재활용실적은 전년대비 7.7% 증가했으나, 유가하락의 영향으로 재생원료의 판매단가가 전년대비 35.1% 하락하여 업계의 수익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거안정화율 저조한(60%미만) 기초지자체 현황 (사진=환경부)

최근 일부 선별장의 발포합성수지 적체 현상은 추석연휴 폐기물 발생량 일시 증가에 의한 것으로, 현재까지 서울시 기준으로 발포합성수지의 수거·반입거부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환경부는 판단하고 있다.

특히 지난 추석연휴 이후 일시적으로 크게 증가했던 재활용폐기물의 선별장 반입량은 3주만에 감소하였으며, 선별장의 보관량도 추석전 수준으로 감소하는 등 수도권지역의 수거 상황은 점차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앞으로 환경부는 발포합성수지 재활용시장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전자제품 업계 등을 대상으로 회수된 발포합성수지의 매각대금 조정 등을 협의할 계획이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재활용가능자원의 판매단가와 가격경쟁력이 추가 악화하는 경우 언제든 수거중단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라면서, "시장 상황을 계속해서 꼼꼼하게 예의주시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