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덕현의 타임캡슐과 같은 일련의 작업들...고향과 자기를 상실한 현대인들의 추억

[중앙뉴스=윤장섭 기자]한 가지 스타일로 작품을 정의하기에는 미술무대가 좁다는 화가가 있다. 마치 시간을 거꾸로 되돌려놓은 타임캡슐과도 같은 일련의 작업에서 현대인이 상실한 유년의 추억을 화폭에 담아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만드는 작가다. 그는 바로 '고향집 향기'의 작가 백덕현(Paik Duk-Hyun)이다.

지난 3월 17일(수요일)부터 23일(화요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이즈갤러리에서 백덕현 작가의 개인전(Solo Exhibition)이 열렸다.(사진=배덕현 작품)
지난 3월 17일(수요일)부터 23일(화요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이즈갤러리에서 백덕현 작가의 개인전(Solo Exhibition)이 열렸다.(사진=배덕현 작품)

지난 3월 17일(수요일)부터 23일(화요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이즈갤러리에서 백덕현 작가의 개인전(Solo Exhibition)이 열렸다. 백 작가의 이번 전시회의 주제는 "백덕현 예술세계로 여행"이다.

백덕현 작가는 단체전 같은 개인전으로 다양한 스타일을 보여주고 싶어한다. 백 작가의 작품 스타일은 한두 가지의 정해진 스타일이 아닌 다양한 작품들로 전시장을 꾸며 관람객들로 하여금 놀라게 하거나 다음 전시회를 기대하게 만든다. 특히 백 작가의 작품들은 유년시절에 격었던 추억들을 작품화 했다.

백 작가의 작품들은 유년시절에 격었던 추억들을 작품화 했다.(사진=배덕현 작가)
백 작가의 작품들은 유년시절에 격었던 추억들을 작품화 했다.(사진=배덕현 작가)

6~70년대 삶의 현장에서 겪었던 추억들을 되살려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캔버스(Canvas)위에다 다시 표현하고자 했다. 현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 입장에서는 당시의 삶을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백덕현은 이렇게 말한다. 누구는 트로트를 들으며 옛날의 추억을 떠올리기도 하고, 대지에술의 '크리스토 자가체프'와 색면화화 '마크 로스코'의 작품 앞에서도 관객들은 울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미술작품 앞에서 관객이 울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적이 없기에 이번 '고향집 향기'흙벽전으로 관객들에게 울림을 주고 싶었다고 말이다.

백덕현은 전시 후기에서 작품(부억벽:어머니의 눈물)을 준비하면서 유년시절의 추억이 떠올라 눈물이 나서 한참을 작품앞에 앉아 옛날에 잠기기도 했다고 했다. 백덕현은 이번 전시를 마치고 다음 전시회 작품을 위해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을 준비중이다.

백덕현은 전시 후기에서 작품(부억벽, 어머니의 눈물)을 준비하면서 유년시절의 추억이 떠올라 눈물이 나서 한참을 작품앞에 앉아 옛날에 잠기기도 했다고 했다.(사진=백덕현 작가)
백덕현은 전시 후기에서 작품(부억벽, 어머니의 눈물)을 준비하면서 유년시절의 추억이 떠올라 눈물이 나서 한참을 작품앞에 앉아 옛날에 잠기기도 했다고 했다.(사진=백덕현 작가)

백덕현의 다음 전시회 목표는 미술관객과 미술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설레임을 선사하고 싶다는 것, 그래서 '데미안 허스트', '제푼 쿤스'와 같은 작가들의 작품에 밀리지 않는 작품을 만들어 세계 미술계에서 평가를 받고싶다고 했다.

백덕현은 또 "니체의 '신은 죽었다'하는 내용을 이해하는데 오랜세월이 걸렸으나 니체의 '신은 죽었다'는 내용을 이해하면서 부터 작품 구현에 늘 영감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양한 작품들과 함께 세계 미술사에 한 획을 긋고 싶다는 자신감도 드러냈다.

#백덕현의 타임캡슐과 같은 일련의 작업들...고향과 자기를 상실한 현대인들의 추억

오래된, 잊힌, 아득한 벽면 앞에 서다. 현대인은 온통 상실의 시대를 살고 있다. 신을 상실하고, 중심을 상실하고, 원형을 상실하고, 유년을 상실하고, 자기를 상실한 시대를 살고 있다.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지극한 상실감이야말로 그가 다름 아닌 현대인임을 증명해주는 징후며 증상이 되었다.

그렇게 상실된 것들의 전형이 고향의 상실이다. 현대인은 고향을 상실했다. 여기서 현대인이 상실한 고향은 실제적인 고향, 지리적인 고향으로서보다는 마음의 고향, 존재론적인 원형으로서의 고향에 가깝다. 그렇게 고향을 상실한 현대인은 마음 둘 곳이 없고 정 붙일 데가 없다. 그저 부초처럼 흔들릴 뿐. 바람 따라 흐를 뿐.

여기서 작가는 그렇게 상실된 것들을 되불러온다. 오래된, 잊힌, 아득한 흙벽을 되불러온다. 옛날엔 너나없이 흙집에서 살았다. 마른 옥수숫대로 심지를 넣고 그 위에 흙을 펴 바른 흙벽을 바람막이 삼아 지은 집이다. 이때 흙에다가 잘게 자른 마른 지푸라기를 섞어 반죽을 하는데, 아마도 내구성을 위한 것일 터이다. 때로 회 칠을 해 벽체를 마감하기도 하는데, 작가의 그림에선 흙에 한데 섞어 반죽한 지푸라기가 여실하고, 부분적으로 흙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 회칠로 땜질한 자국이 오롯하다.

작가의 그림에선 흙에 한데 섞어 반죽한 지푸라기가 여실하고, 부분적으로 흙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 회칠로 땜질한 자국이 오롯하다.(사진=백덕현 작가)
작가의 그림에선 흙에 한데 섞어 반죽한 지푸라기가 여실하고, 부분적으로 흙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 회칠로 땜질한 자국이 오롯하다.(사진=백덕현 작가)

이런 흙벽이 있는가 하면, 장작을 때면서 나온 그을음으로 온통 새까만 벽면도 있다. 아마도 부엌의 벽체를 재현한 것일 터이다. 그런가 하면, 옛날에는 궁색한 살림살이로 변변한 도배지도 없어서, 신문지 조각과 잡지 쪼가리를 얼기설기 붙여 도배지를 대신하곤 했는데, 작가는 그런 벽면도 재현했다. 어쩌면 너나없이 다 같이 못살던 그 시절이 지금보다 더 행복했을지도 모른다. 마치 시간을 거꾸로 되돌려놓은 타임캡슐과도 같은 이 일련의 작업에서 작가는 현대인이 상실한 유년을, 추억을,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만든다.

우주 회화. 이렇게 상실된 것 중에 우주도 있다. 아마도 우주의 상실은 꿈의 상실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지금은 대기오염으로 인해 별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옛날에 시골에서 올려다본 밤하늘은 온통 별빛으로 눈이 아렸다. 작가는 그렇게 밤하늘을 수놓는 별천지를 그렸다.

칠흑 같은 어둠에 아롱거리는 별빛이 대비되면서 마치 꿈을 꾸는 것 같은 몽환적인 느낌을 준다. 작가의 그림은 그렇게 우리가 상실한 것들을, 우주를, 꿈을 되새기게 만든다. 그리고 파쇄된 신문지 조각 더미가 상실된 시간을 상기시킨다.

팽창조각과 팽창회화. 현대미술의 거장들이 여럿 있지만, 그중 세자르의 팽창조각과 압축 조각은 조각을 확장 시킨 계기로 평가된다. 주지하다시피 압축 조각은 폐차를 납작하게 눌러 압축시킨 것으로, 자동차로 대변되는 현대문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표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팽창 조각은?

스스로 부풀어 오르는 성질을 가진 자기 발포성 소재를 이용해 형태를 만든 조각으로, 창작의 계기로서의 우연성을 인정한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사진=백덕현 작가)
스스로 부풀어 오르는 성질을 가진 자기 발포성 소재를 이용해 형태를 만든 조각으로, 창작의 계기로서의 우연성을 인정한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사진=백덕현 작가)

스스로 부풀어 오르는 성질을 가진 자기 발포성 소재를 이용해 형태를 만든 조각으로, 창작의 계기로서의 우연성을 인정한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여기에 착안한 작가는 팽창 조각의 원리를 회화에 적용한다. 자기 발포성 소재의 우레탄 폼을 캔버스 평면 위에 부가해 소재 자체가 형태를 만들게 하는 식의 팽창회화로 볼 수가 있겠다. 여기서 작가는 형태가 만들어지는 최소한의 조건을 제공할 뿐, 정작 형태 자체는 소재가 만드는 우연성의 계기를 인정한 것이다.

그렇게 회화와 조각, 입체와 평면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이 마치 이름 모를 섬들의 군락을 보는 것 같고, 비정형의 울퉁불퉁한 대지의 표면을 클로즈업한 것도 같고, 때론 낯선 행성의 지표를 보는 것 같은 이질감을 준다.

그리고 팽창 조각의 경우로 치자면, 비너스의 두상에 우레탄 폼을 씌운, 온통 부풀려진 비정형의 거품을 뒤집어쓰고 있는 조각을 들 수가 있겠다. 아마도 스스로 거품을 걷어내고(알을 깨고?) 나오라는, 스스로 거듭나라는 주문을 담았을 것이다. 그리고 주지하다시피 비너스는 미의 화신으로도 알려져 있다. 아마도 미의 상대성이라는 의미를 담았을 것이다.

이런 미의 상대성을 다룬 다른 경우도 있는데, 바비인형을 소재로 한 작업이 그렇다. 표면에 바비인형이 프린트된 천을 잡아 늘여 고정시킨 작업이다. 보통 바비인형은 날씬한 몸매로 미의 전형을 표상하는 것인데, 그 표면적이 늘어난 뚱뚱한 몸매로 미의 전형을 의문시한 것이다. 여기에 상대성에 대한 또 다른 코멘트에 해당하는 작업으로 작가는 키가 작은 사람은 실제보다 더 크게, 키가 큰 사람은 실제보다 더 작게 측정되는 희한한 키재기 자를 제안한다.

상대적인 미에 이어 상대적인 키를 다룬 작업으로, 사람을 외모나 키, 학력과 재력과 같은 겉모습으로 평가하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선언을 담았을 것이다. 망치 회화. 작가는 임의로 만든 도구에 물감 튜브를 끼워 넣고 망치로 내려쳐 물감이 뿜어져 나가면서 전면에 비치된 화폭에 흩뿌려지게 했다. 여기서 작가는 회화가 가능해지는 최소한의 조건을 제시할 뿐, 정작 그림은 우연이 만들고 그리는 것인데, 보기에 따라선 니키 드 생팔의 사격 회화의 또 다른 버전을 연상시킨다.

길 위의 회화. 작가는 아스팔트 도로 위에 캔버스 천을 깔아놓고, 그 위에 물감을 대고 망치로 내려쳐 물감이 사방으로 튀게 만든다. 그 과정에서 우연한 드로잉과 함께, 길의 질감이 부분적으로 프로타주 되기도 한다. 예기치 못한 방향이지만 저마다 방향을 찾아 튀어가는 물감처럼 그동안 길 위를 지나쳤을 익명적인 사람들의 익명적인 발걸음을 표상한 것이다.

길에 대한 오마주고, 보통 사람들의 삶(그리고 삶의 길)에 대한 오마주라고 해야 할까. 여기서 작가는 무수한 사람들이 지나쳤을 길의 의미를 되새김질하는 길 위의 퍼포머, 존재론적인 퍼포머가 된다. 이 작업에서는 삶에 대한 일종의 실천적인 면모(행동?)가 읽히는데, 또 다른 경우로 세계평화를 위한 화병 설치작업을 들 수가 있겠다.

각종 꽃으로 장식된 거대한 화병을 길이나 광장에 설치하고, 사람들이 그 속에 들어가 스스로 꽃이 되게 한 것이다. 그렇게 사람들이 저마다 한 송이 꽃으로 피어난다면, 그렇게 다른 꽃(그러므로 사람)들과 어우러져 조화로운 세상을 일궈낸다면 세계평화도 가능해지지 않을까, 라는 꿈과 이상을 반영한 작업이다.

오브제 회화. 보통 캔버스로 치자면 나무 틀에 천을 씌워 팽팽하게 당겨 고정시켜 놓은 것인데, 작가는 나무 틀과 캔버스 천을 분리시켰다. 그리고 분리된 캔버스 천을 무슨 옷처럼 나무 틀에 입히거나 걸어 놓았다. 그렇게 비정형의 주름을 만들면서 아래로 쳐진 채 벽면에 걸려 있는 캔버스 천을 보여준다.

캔버스 자체는 그 위에 그림을 그리기 위한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작품일 수 있다는, 말하자면 일종의 오브제의 한 형식으로서의 경우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작업이 나무 틀과 캔버스 천을 분리한, 지지대와 지지체를 분리한, 그렇게 캔버스 자체를 회화에 종속된 위치에서 해방시켜 독립성이며 자족성을 인정한 쉬포르 쉬르파스를 연상시킨다. 아마도 현대미술의 성과를 자기화하고 재해석한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회초리 회화. 그림이 지독히 안 풀릴 때가 있다. 무엇을 왜 그리는지 싶을 때가 있다. 도대체 현대미술이 뭔지 종잡을 수 없을 때가 있고, 현대미술로 알려진 것들이 과연 따라야 할 규범이라거나 극복해야 할 대상인가 회의가 들 때도 있다. 작가는 이처럼 시시각각 원점으로 되돌려진 자기를 본다. 그럴 때면 마치 스스로 회초리를 들어 자신의 종아리를 때리듯 자기반성적인 행위를 흔적으로서 보여준다. 싸릿대에 물감을 묻혀 화폭에 내려치기를 반복하는 것인데, 이로써 화폭에는 마치 회초리 자국으로 여실한 장딴지의 상처와도 같은 흔적이 남는다. 현대미술에 대한, 나아가 그림 그리기의 존재 이유에 대한 자기반성적 이해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한 것일 터이다.          

회화의 죽음. 작가는 불에 달궈 뜨거워진 돌을 캔버스 위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캔버스 천이 타면서 연기도 나고 냄새도 나고 구멍도 난다. 그리고 그 구멍 속으로 달궈진 돌이 빠져나간다. 그렇게 작가는 검게 탄 흔적이 여실한, 여기저기 크고 작은 구멍들로 숭숭한 캔버스를 보여준다. 붓 대신 돌이 그림을 그렸다고 해야 할까. 붓의 확장이라고 해야 할까. 보기에 따라서 이 작업은 캔버스 천을 칼로 찢은 루치오 폰타나의 작업을 연상시킨다.

다만 도구에 해당하는 칼과 불에 달궈진 돌이 다르다고 해야 할까. 폰타나도 작가도 이 행위를 통해서 평면에 한정된 캔버스를 공간적으로 확장시킨다. 주목할 점으로 작가는 이 작업이며 행위를 들어 회화의 죽음이라고 부른다. 회화의 죽음?

회화의 주검을 장례 지내는 것인가. 실제로도 그 과정에 회화의 몸에 해당하는 캔버스 천이 타면서 연기도 나고 냄새도 난다. 그리고 종래에는 재만 남긴 채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다. 그렇다면, 화장인가?

여기서 작가는 그림을 살아있는 유기체라고 본다. 그림을 오브제로 본 현대미술보다 더 급진적인, 그리고 근원적인 발상이며 접근으로 봐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담론으로서의 회화의 죽음 논의 자체에 대해서는 현대미술에 대한 부정과 재생의 몸짓으로 봐도 좋을 것이다.

이외에도 작가는 지구를 들어 올린 로봇(아마도 역설을 다루고 있는), 빵빵한 고무풍선을 놓치면 바람이 빠져나가면서 공중으로 날아가는 고무풍선이 그리는 궤적을 통해 회화의 확장을 꾀한(허공의 드로잉) 형식 실험들을 내놓는다. 이 일련의 작업들에서 작가는 때로 현대미술을 참조하면서, 더러 현대미술을 부정하면서 자신만의 형식언어를 찾아 동분서주한다.

예술가적 아이덴티티로 치자면 실로 다양한 인격이 공존하는, 마치 쇳물로 펄펄 끓는 도가니와도 같은 작가의 머릿속을 엿보는 것도 같다. 니체는 예술가의 머릿속에 질서를 추구하는 아폴로와 무분별한 생명력을 추구하는 디오니소스가 동거한다고 했다. 작가의 작업을 잉태하는 두 예술 신으로 봐도 좋을 것이다.

고충환 미술평론가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