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미래선도형 수소 생산·저장 원천기술 개발 공모…2026년까지 253억 투입
국토부, 고속도로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2025년까지 243MW 건설
환경부, 금융기관‧기업의 환경책임투자 근거 마련…환경정보 공개기업 확대

정부가 미래 선도형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등의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탄소중립을 앞당기고 있다. (사진=한화)
정부가 미래 선도형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등의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탄소중립을 앞당기고 있다. (사진=한화)

[중앙뉴스=김상미 기자] 정부가 미래 선도형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등의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탄소중립을 앞당기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친환경적으로 수소를 생산하고 저장하기 위해 도전적이고 파급효과가 큰 미래 선도형 수소 생산·저장 기술 신규 과제를 공모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31일 발표된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을 뒷받침하고,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이행을 위해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고 8일 이같이 밝혔다. 이를 위해 9일부터 다음달 11일까지 33일간 신규 과제를 공모한다.

과기정통부 정책브리핑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486억 1000만 원을 투입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CO2-free)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이 높은 수소 생산 기술과 수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수소에너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해오고 있다.

태양광 수소생산은 광촉매·전극 신소재 개발, 외부전력 없이 작동하는 고압 태양광 수소생산 시스템이고, PCEC 수소생산은 프로톤 전도성 전해질 및 공기극 소재 개발, 대면적 단전지(5㎝×5㎝) 제조 및 숏스택(3층 이상) 최적화 기술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연계 열화학 수소생산은 활성·내구성이 개선된 반응기 소재 및 시스템 등이고, 고체흡착 수소저장은 다공성 흡착제 및 수소 흡·탈착이 용이한 화학적·물리적·열적 안정성 확보 기술이다.

이번 사업은 수소 생산·저장 기술 중에서 현재 기술 수준은 낮지만 향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선도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올해부터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33억 원을 포함해 오는 2026년까지 6년간 총 253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광전기화학적 고효율 수소 생산 기술 ▲프로톤 기반 고효율 중온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 ▲재생에너지 연계 열화학적 수소 생산 기술 ▲고체흡착 수소 저장 기술 등 4개 분야 기술을 개발한다.

이번 사업은 기술 목표만 제시된 상황에서 연구 방법을 연구자들이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제안하는 자유공모형(Middle-up) 방식으로 공모한다. 사업기간(6년) 동안 두 번의 단계 평가를 거쳐 최종 과제(1~2개)를 선정하는 경쟁형 연구 방식(토너먼트형)으로 사업을 운영해 혁신적 기술개발과 함께 조기 성과 창출을 유도할 예정이다. 과제 공모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와 한국연구재단(www.nrf.re.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봉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수소 생산·저장 분야는 활용 등 수소 전 주기 내 다른 기술 분야보다 기술혁신이 더욱 요구된다”면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그린수소로 생산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최근 추세에서 우리나라가 개발한 친환경 수소 생산·저장 기술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효성첨단소재의 탄소섬유는 수소차의 연료탱크 핵심 소재로 쓰인다. (사진=효성)
효성첨단소재의 탄소섬유는 수소차의 연료탱크 핵심 소재로 쓰인다. (사진=효성)

@ 국토부, 고속도로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2025년까지 243MW 건설

국토교통부(국토부)도 고속도로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건설해 ‘에너지 자립 고속도로’로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새롭게 연료전지 설비 3곳도 구축한다.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한 탄소중립을 위해 ‘2021년 고속도로 자산 활용 태양광 발전사업’ 공고를 9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업방식은 민간사업자가 고속도로 유휴부지 내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건설해 20년간 운영하고 운영기간 중 부지 사용료를 한국도로공사에 납부하는 방식이다.

국토부 정책브리핑에 따르면, 지난 2012년부터 고속도로 유휴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해왔으며, 현재 319곳에 149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운영하고 있거나 건설하고 있다. 

해당 시설은 약 14만 명이 가정에서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인 연간 195GWh의 전력량을 생산할 수 있다. 올해 추진하는 사업 규모는 총 30MW이며, 현재 추진 중인 설비를 더하면 오는 2025년 태양광 시설 운영 목표인 243MW의 73% 수준을 달성하게 된다.

사업대상지는 고속도로 성토 비탈면,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의 녹지대, 건물 상부 및 주차장 등이며 모집 공고 후 제안서 접수·평가를 통해 10월 중에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은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시행하며 사업신청자의 사업 이행능력, 재무, 경관, 건설, 관리운영계획 및 사용료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도로공사 누리집(www.ex.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는 오는 2025년까지 고속도로에서 소요되는 전력량만큼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한다는 목표를 수립해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고속도로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과 더불어 새롭게 연료전지 설비 3곳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상헌 국토부 도로정책과장은 “고속도로의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해서는 민간과 공공의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앞으로 민간사업자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해상풍력발전 (사진=중앙뉴스DB)
해상풍력발전 (사진=중앙뉴스DB)

@ 환경부, 금융기관‧기업의 환경책임투자 근거 마련…환경정보 공개기업 확대

환경부도 금융기관과 기업의 환경책임투자를 유도해 탄소중립을 앞당기는 데 앞장섰다. 이는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한 투자와 경영 활동을 하도록 지원해 ‘2050 탄소중립’ 이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정책브리핑에 따르면, 환경부는 환경책임투자 추진, 새활용 산업지원 근거 등을 담은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이하 환경기술산업법)’ 개정안이 오는 12일에 공포돼 6개월 뒤에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정된 ‘환경기술산업법’의 주요 내용을 보면 환경부는 환경책임투자의 지원과 활성화를 위해 지속가능한 녹색 경제 활동 여부를 판단하는 녹색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기업의 환경적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표준 평가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기관·단체를 환경책임투자 정책 추진을 지원하는 전담기관으로 지정해 표준 평가체계를 활용한 환경성 평가나 이에 필요한 정보의 수집, 관리 업무 등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기업의 환경정보 공개 대상에 종전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 등 환경영향이 큰 기업·단체에서 자산 총액이 일정 규모 이상인 기업까지로 확대했다. 현재 환경정보 공개 대상은 중앙행정기관, 배출권할당 대상업체, 녹색기업 등 1686개 기관·기업(대표사업장 기준)으로 에너지 사용량 등 최대 27개 항목을 공개하고 있다(www.env-info.kr).

이와 함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순환경제 정책 활성화를 위해 환경산업의 정의에 새활용산업 등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체계적인 새활용산업의 육성·지원 정책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 기존의 환경신기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신기술 인증 유효기간을 기존 5년에서 8년으로 연장하고, 녹색환경지원센터 사업범위에 환경관련 인·허가 등에 대한 기술 자문이 추가됐다.

한편, 환경부는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에 있으며 유럽연합(EU) 등 해외사례를 고려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녹색 분류체계를 올해 상반기 중에 마련할 계획이다.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중 환경 성과 평가와 관련해 민간평가 기관의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론 분석을 토대로 표준 평가 안내서도 올해 상반기 중으로 마련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관련 기관과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이번 환경책임투자 제도화를 시작으로 환경부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서 환경분야를 선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환경분야에서 체계적인 환경책임투자 기반을 마련해 녹색산업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탄소중립을 앞당기는 데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