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금리만 `나홀로' 급등

6일 은행권 및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 적금, 금융채 등 은행의 자금조달 금리를 나타내는 수신금리는 지난해 말 연 2.85%에서 올해 9월 말 3.1%로 9개월 새 0.25%포인트 올랐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올해 들어 2조원이 넘는 이자를 더 거둬들였다. 시장금리가 안정돼 정부, 기업, 은행들이 금리 부담에서 벗어난 것과는 정반대다. 이래저래 서민들만 죽을 맛이다.

이것은 가계 대출금리가 수신금리의 2배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휘발유 가격이 국제 원유 가격에 일정 마진을 붙여 책정되는 것처럼 대출금리는 수신금리를 좇아간다.

실제로 기업 대출금리는 올해 들어 0.27%포인트 올라 수신금리와 거의 비슷한 상승폭을 나타냈다.

그런데 가계 대출금리는 같은 기간 연 5.35%에서 5.86%로 무려 0.51%포인트 올라 수신금리 상승폭의 2배를 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말 연 4.71%에서 5.23%로 0.52%포인트 올랐다. 연 6.65%에서 7.36%로 오른 신용대출은 상승폭이 무려 0.71%포인트에 달해 수신금리의 3배 가까이 올랐다.

만약 대출금리가 수신금리와 비슷하게 0.25%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면 주택담보대출은 4%대, 신용대출은 6%대에 머무를 수 있었다.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이 449조원에 달하므로, 대출금리가 올해 들어 0.51%포인트 뛰어오르면서 대출자들은 2조3천억원이나 더 많은 이자 부담을 지게 됐다. 대출금리 상승폭이 절반에 그쳐 수신금리와 비슷했다면 이자 부담을 1조원 이상 덜 수 있었다는 얘기다.

국고채, 회사채, 금융채 등 다른 시장금리는 올해 들어 일제히 제자리걸음을 하며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기업, 은행 등 모든 경제주체들이 금리 걱정을 덜고 있다.

하지만 개인 대출자들은 껑충 뛰어버린 가계대출 금리로 인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이자 고통'에 시달리는 모습이다.

금융소비자연맹의 조남희 사무총장은 "시장금리가 일제히 올랐다면 가계대출 금리 또한 오르는 것도 당연하겠지만, 가계대출 금리만 `나홀로' 급등한다면 이건 뭔가 잘못돼도 크게 잘못된 것 아니냐"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대출금리는 은행의 수신금리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정상적"이라며 "가계대출 금리가 수신금리에 연동되도록 금리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