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일 3.1절 기념사를 통해 일제 강점기 종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다시 한번 촉구했다.



지난해 12월 일본 교토(京都)에서 열린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취임 후 처음 위안부 문제 해결을 공식 제기한 지 불과 두 달 여만에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에 나서 줄 것을 일본 정부에 거듭 요구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말 한일 정상회담 전까지는 3.1절과 8.15 광복절 기념사에서도 위안부 문제를 언급한 적이 없었다.

2009년과 2010년 3.1절 기념사에선 아예 대일 메시지 자체가 없었고 집권 원년인 2008년 3.1절 기념사도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만을 강조했을 만큼 실용주의 외교 기조를 바탕으로 일본을 자극하는 일을 피해온 게 사실이다.



 지난해 3.1절에도 이 대통령은 과거사에 대한 솔직한 시인을 주문했지만, 위안부 문제와 같은 구체적인 과오에 대해 직접적인 사과나 반성을 촉구하지는 않았다.

이처럼 이 대통령이 임기 후반기 들어 위안부 문제 해결에 천착하는 것은 국내 위안부 피해자들이 고령이어서 일본 정부로부터 진정한 사과나 보상을 받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기념사에 "이분들이 마음에 품은 한을 생전 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신다면 일본은 이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영원히 놓치게 되는 것"이라는 문구를 집어넣은 것도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는 후문이다.



아울러 한일 양국간 과거사 문제 중에서도 특히 위안부 보상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 것이 양국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시금석이 될 것이라는 게 이 대통령의 인식이라고 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위안부 문제는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로 어물쩍 넘어가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가 앞으로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현재로선 지난번처럼 침묵으로 일관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이날 기념사에서 역사 왜곡, 교과서 날조, 독도 영유권 주장 등 쟁점화하면 반드시 유리하다고 볼 수 없는 이슈들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했다.

이 대통령 임기 내 마지막 3.1절에 나온 이번 기념사는 이전 네 차례의 3.1절 기념사와는 달리 대북 메시지가 전혀 담기지 않은 것도 특징이다.

이는 위안부 관련 대일 메시지의 주목도와 선명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북한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긍정적 조짐을 보이는 등 한반도 상황에 변동성이 높아진 점도 대북 메시지를 자제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이 대통령은 3.1운동 정신을 `단합과 관용의 정신'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현재에 되살려 이념ㆍ계층ㆍ지역ㆍ세대간 반목과 갈등을 극복하고 화합과 소통을 통해 선진강국을 이룩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세계 재정 위기 극복에 주력하고 다가오는 총선과 대선을 공정하게 치러낼 것을 약속하는 한편, 국가 미래가 걸렸다고 판단되는 정책 과제는 그 기조를 끝까지 지키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