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문제가 연일 화두다. ‘그냥 쉬는’ 20~30대 청년이 지난 1월에 이어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 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일자리 창출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는 가운데 문제해결의 핵심인 창업으로 해법을 찾은 젊은 농업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한국농수산대학을 졸업한 A씨(26세)는 3300㎡ 농지에서 2년째 육묘 사업을 하고 있다. 수박, 고추, 배추 위주로 종묘를 판매하여 연간 2억 5천만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고품질로 차별화한 종묘는 선주문이 90% 가량으로 인기가 높다. 대부분 인근 농가에 직접 판매하여 유통마진을 없앴고 일부는 대리점에 납품하여 안정적 판로를 마련했다. 올해는 재배 규모를 3300㎡ 더 늘릴 계획이다.

같은 학교를 졸업한 B씨(27세)는 인삼 농사를 짓고 있다. 중학교 시절부터 아버지와 함께한 농사가 어느새 14년 경력이다. 금산, 옥천, 태안 등지에서 인삼밭 3만 9600㎡를 부자가 함께 일구어 연간 1억 4000만 원의 매출을 올린다. 아직은 아버지께 월급을 받고 있지만 기술을 조금 더 익힌 후에는 별도의 경영체를 세워 자립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본인 명의의 밭 5600㎡를 혼자 관리하기 시작해 독립의 첫걸음을 뗐다.

최근 실시한 한국농수산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농사를 짓는 졸업생의 평균 소득이 6516만 원이며, 이 중 1억 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23%에 달한다. 도시근로자 평균 연소득 4809만 원, 100대 기업 직원 평균연봉 6195만 원과 비교하면 시사점이 크다.

물론 고소득 농업인으로 정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착을 위해 수차례 시행착오를 거쳐 기술을 체득해야 하고 지역 사회에도 잘 적응해야 한다. 무엇보다 농사지을 만한 땅 구하기가 만만치 않다. 농촌이 고령화되어 일손이 부족하다고 하지만 기계화가 진전되어 농사짓기 좋은 땅은 금방 임차인이 나타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영농 경험이 적고 연고가 없는 젊은 농업인은 농사지을 땅이 없다. 농지가격이 많이 올라 매입하기도 부담스럽다.

이제 젊은 농업인의 농지 확보에 물꼬가 트인다. 정부는 올해부터 농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30대 농업인을 선정하여 농지를 우선 지원한다.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이 보유한 농지 또는 임대를 위탁 받은 농지를 장기임대(5~10년)하거나, 농지 매입자금을 저리로 융자하는 방식이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희망지역, 재배작목, 규모 등 각자의 영농계획에 맞게 5년 동안 최대 5ha를 우선 지원 받는다. 우리나라 농가의 평균 경영규모가 일반 농업인은 1.46ha, 쌀 전업농은 5.4ha인 점을 감안하면 정착에 충분한 규모이다. 이번 계획에 따라 올해 20~30대 농업인에게 지원되는 농지는 총 2500ha이다. 지난해 1450ha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우리나라 농업인 중 20~30대의 비중은 2.8%에 불과하다. 10년 전 6.6%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구조를 감안하면 농업 부문에 젊은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연히 적다. 어느 산업에서고 인적자원이 빈곤하면 희망이 없다고 한다. 미래를 담당할 젊은 세대가 느는 것은 결국 우리 농업의 희망이 크는 것이다. 유능하고 진취적인 젊은 농업인이 성공적으로 정착해 농업·농촌에 더 큰 활력을 불어넣길 기대하며, 용기 있는 도전에 박수를 보낸다.

이상길 농림수산식품부 제1차관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