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교육청이 곽노현 전(前) 교육감 시절 도입한 소규모 수학여행 활성화 방안을 사실상 철회해 농촌형 체험마을 시설 등에 투자한 지자체들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  "2013학년도부터는 소규모·테마형 수학여행을 의무화하지 않고, 각 학교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학여행단 규모를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소규모·테마형 수학여행은 150명 이하의 소규모 학생 인원이 주제에 따라 특정 지역을 답사하는 방식의 체험활동이다.

서울교육청은 충남, 전북, 강원도 등과 소규모·테마형 수학여행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바 있다.

그러나 인솔교사가 부족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내년부터는 학교장과 학생, 학부모가 협의해 규모를 확대할 수 있도록 의무화 규정을 없앤 것.

이 같은 방침이 알려지자 농촌형 체험마을을 운영하며 소규모 수학여행단을 받아온 지자체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강원도는 서울과 인접한데다 자연경관이 수려해 수학여행단이 특히 많이 찾는 지역.
올 상반기에만 2천215개 학교에서 학생 39만 2천753명이 다녀갔다.

강원도청 관광마케팅사업본부 관계자는 "수도권 학교들을 대상으로 관광설명회, 팸 투어를 열고 수학여행지 소개 책자를 발간하는 등 자체적인 노력을 꾸준히 해왔다"면서 "지금도 학교장 재량에 의해서 수학여행지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학년 단위의 대규모 인원이 숙박문제 등을 내세워 제주도 등 인기 여행지만 형식적으로 둘러보던 기존의 수학여행 문화가 다시 도래하면 소규모 체험마을은 사실상 고사할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전남은 지난해 외지 수학여행단 565개교 13만여 명 중 서울 등 수도권 학생이 50% 이상을 차지했다.

전남도청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서울시교육청, 전남도교육청과 함께 협약까지 맺으면서 소규모 수학여행단 유치에 열의를 보여왔는데 서울시교육청이 정책을 선회한다면 내년부터는 어쩔 수 없이 사업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전남도는 전문 상담원을 배치하고 각종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등 내년도 수학여행단 유치 방안을 고심 중이다.

누구보다 걱정이 큰 건 수학여행단을 유치해 수익을 내온 마을 주민들이다.

2005년부터 테마형 마을을 조성해온 강릉 사천면 '해살이마을'의 숙박 가능 인원은 100명 안팎.

해살이마을 정보화관리자 김모(46)씨는 "200~300명이 당일치기로 체험활동을 온다면야 문제가 없지만, 그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숙박시설은 없다"면서 "옛날처럼 대규모 수학여행단 시절로 돌아간다면 마을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수학여행단 2천여 명을 유치한 충남 태안의 '매화둠벙마을'도 사정은 마찬가지. 대부분 체험마을과 마찬가지로 소규모 인원에 최적화된 여행지다.

매화둠벙마을의 한 주민은 "학교가 수학여행 형태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된다면 가뜩이나 힘든 여행단 유치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일단 각 학교에 소개 메일을 보내 주민들이 직접 홍보활동을 벌이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경북 안동 하회마을 인근에 있는 한 농촌체험마을 운영자는 "작년부터 서울교육청에서 특별히 농촌체험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해서 기대했었는데 의무화가 철회됐다니 걱정스럽다"면서 "(서울에서) 멀어 원래부터 수도권 지역 수학여행단 유치는 힘든 곳이지만 내년부터는 더 힘들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전국 모든 초·중·고등학교의 규모와 사정이 다르므로 천편일률적으로 여행단 규모를 의무적으로 제한할 수는 없다"면서 "농촌 체험마을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좋은데다, 학교 구성원의 협의에 달린 일인 만큼 수학여행단 방문이 급격히 줄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