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부터 우주폭풍연구 및 별생성 근원 연구 수행 예정

교육과학기술부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소장 이인)는 지난 8월 20일부터 약 2달 간 전국 대학, 연구소, 산업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차세대 소형위성의 우주과학탑재체 공모 결과, 차세대 소형위성의 우주과학임무로 ‘우주폭풍연구’와 ‘우주 별탄생 역사 규명’이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차세대 소형위성은 ’98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기술개발, 우주과학연구, 전문인력양성 등에 기여해 온 과학기술위성 시리즈의 후속위성으로, ’90년대부터 우리별 위성 시리즈, 과학기술위성 시리즈를 개발하며 소형위성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금년 6월부터 개발에 착수한 위성이다.

차세대 소형위성의 첫 번째 우주과학임무인 ‘우주폭풍연구’에서는 우주방사선, 이온층 등 다양한 우주물리량 관측을 통해 태양풍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우주공간에서 발생하는 요동현상인 우주폭풍의 현상 연구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차세대 소형위성이 발사되는 2016년은 우주폭풍이 많이 발생하는 태양활동 쇠퇴기에 해당하여 우주폭풍과 관련된 우수한 연구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우주과학임무인 ‘우주 별탄생 역사규명 연구’에서는 근적외선 영상분광기를 활용하여 우주를 관측함으로서, 천체 테마의 중요한 연구 분야인 별 생성율을 측정하고 은하의 생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초석을 다지며 우주의 별 생성 역사를 규명할 예정이다.

이번 차세대 소형위성에는 위성 핵심부품 국산화를 위해 차세대 우주용 고속처리장치(AP 우주항공), 3차원 적층형 대용량 메모리(KAIST), 고속ㆍ고정밀 별추적기(쎄트렉아이), 우주급 광학형 자이로(파이버프로) 등 산ㆍ학ㆍ연에서 개발된 위성 핵심기술ㆍ부품이 함께 탑재되어 우주환경에서의 성능검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차세대 소형위성 개발을 통해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소형위성의 기술경쟁력 향상, 핵심기술 및 핵심부품의 국산화,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우주ㆍ지구과학연구 촉진, 우주개발 전문인력 양성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