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야권의 세력을 포용한 '박근혜'리더십의 승리

이명박 정부의 실패한 경제정책을 표심으로 정권을 바꿔보려했던 야권의 도전이 19일 끝난 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참패로 끝났다.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의 ‘준비된 여성 대통령’론이 정권교체를 갈망하던 여론을 잠재우며 여성 대통령 시대를 열었다. 국민은 이명박 정부에 기대했던 희망이 분노로 표출되기에 이르를정도로 실망감마져 컸다.

그러나 국민이 느끼는 분노의 크기보다 다가오는 경제위기에 대한 불안감과함께 대한민국을 에워싸고 있는 동북아의 심상치않은 정세가 국민들로 하여금 진보 보다는 보수에게 한번더 정권을 연장시키는 쪽으로 표심이 작용한 것 같다.

젊은 유권자들의 정권교체의 간절함보다는 박 당선자를 중심으로 한 50대 이상의 절박감이 더 높았다. 이는 보수와 진보를 넘어서는 민생 중심의 새 정치를 요구한 대다수 국민들의 열망인 것이다. 이에 박 당선자는 선거 과정에서 화두가 된 국민 대통합과 화합 정치 등 새로운 리더십으로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높은 투표율에도 범 야권의 패배는 이례적인 일이다. 2030세대는 줄어들고 5060세대는 늘어난 탓으로 돌리기에는 비겁한 변명이다. 참여정부의 연장선에서 들고나온 청책이 국민들을 설득하기에는 부족한듯 했다.

이번 대선의 승리는 정부·여당의 승리가 아닌 중도층의 승리이며‘박근혜의 승리'다. 정부 심판론과 정권교체 여론이 60%를 넘나드는 분위기 안에서 막상 대선 결과의 성적표는 반대였다. 결국 상대적으로 정권심판 욕구가 덜한 중도층이 박 당선자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들은 박 당선자의 믿음의 정치를 선택했다.

15년 동안 ‘신뢰와 원칙’의 정치인으로 언제든지 위기에서 구원투수의 역활을 몸소 실천한  박 당선자의 ‘위기돌파 리더십’을 유권자들이 선택한 것이다. 그 점에서 ‘준비된 여성 대통령’론으로 위기극복 리더십을 부각하고, 이명박 정부와의 차별화 정책 전략이 탁월했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이명박 정부에서 ‘여당 내 야당’ 역할을 해온 박 당선자 자체가 정권심판의 경계를 흐리게 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된다.

지난 대선에서는 보수의 결집이 상대적으로 이번 대선에 비해 약했고 위기의식을 느낀 범여 보수층의 결집이 진보의 결집을 오히려 파괴하는 결속력을 갖게했다. 가장 표심을 잘 보여준곳이 대구, 경북이다. 당초 ‘80·80(80% 투표와 80% 득표)’이 목표라던 대구·경북 표심이 실제 80% 득표를 넘었고, 충청·강원 등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 득표가 이를 뒷받침함으로서 승리를 견인한 것이다.

한편 전국 투표율에 비해 서울 지역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여지지만 서울 투표율이 2002년 16대 대선에 비해 3%포인트 가까이 상승한 점을 감안한다면 범 야권이 결집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상대적으로 보수 결집도가 더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50대 이상 인구 구성비가 2002년에 비해 10% 이상 느는 등 고령화가 보수의 벽을 두껍게 했다.

범‘야권의 실패’의 원인은 무엇인가, '윤평중' 교수는 “정권을 바꾸자고 한 다수의 민심이 ‘안철수 현상’을 만들어냈지만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국민들의 열망하던 그런 민심에 부응하기에는 다소 약한 후보였다”고 진단했다.

박 당선자는 어디를 가든 선거운동 내내 “국민 대통합”정치를 강조했다. 일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상징적으로 한광옥 국민대통합위 부위원장 등 호남 인사 영입에도 공을 들였다. 한화갑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의 지지도 끌어내며 자신이 말하는 '국민 대통합'정치를 보여주었다. 자신을 동서 화합의 적임자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안철수 현상으로 대변되는 ‘새 정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경제민주화론 등 탈보수화를 통한 ‘보수 갱신’ 없이는 여권 진영 승리도, 향후 미래도 없다는 판단이 배경이다.

국가 발전, 정치문화 변화, 여권의 미래 등을 위해 통합과 정치개혁은 필수적인 셈이다. 이는 박 당선자의 시대 과제이기도 하다. 

이제 선거는 끝났다. 승자와 패자를 떠나 국민이 열망하는 새시대 새정치를 구상하고 일부 상처받은 이들이 있다면 그들조차도 위로하고 끌어안고 가야한다. 이제 박 당선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구성에 심혈을 기울려야 할 것이다. 인사와 정책 기조 등이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년 전 이명박 정부처럼 공약과 정책이 다른 기조로 갈 경우 박 당선자를 선택한 민심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돌아설 수 있다는 것을 가슴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