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1일 청와대 조직개편안을 내놓으면서 이제 관심은 조각의 꽃인 국무총리 인선에 집중되고 있다.

인수위 주변에서는 청백리상의 법조인 출신이거나 사회 대통합형 이미지를 가진 인사 중에서 낙점을 받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설득력있게 나오고 있다.

▲     © 중앙뉴스




















◇시기 임박..금주 말 또는 내주 초 예상 = 박 당선인이 외부 일정을 최소화하면서 인선에 진력한 만큼, 총리 후보 발표 시기는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조직개편안(15일)→청와대 조직개편안(21일)→정부 하부조직 개편안(23일 예정) 발표 순으로 정부 및 청와대 조직에 대한 밑그림을 공개한 뒤 이어 총리 인선안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르면 오는 27일 아니면 내주 초가 발표 시점으로 점쳐진다. 금주 발표 전망에 대해서 한 측근은 “총리 후보를 빨리 발표해야 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는 말로 분위기를 대변했다.

인사청문회를 거치면서 논란이 가라앉지 않는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가 여권내 기류에 따라 이번 주말 동안 거취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것도 27일 또는 내주 초 발표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베스트 보다는 라이트’ 청빈한 법조인? = 총리 인선 작업은 극도의 보안 속에서 이뤄지고 있다는게 중론이다. 15년간 곁에서 당선인을 보좌해온 이재만 보좌관을 중심으로 통의동 당선인 비서실에서 인선 작업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언론에서는 법조계 출신 인사들의 이름이 총리 후보군으로 자주 오르내린다. ‘법과 원칙’을 중시하는 박 당선인의 스타일을 감안할 때 설득력이 높다는 것이다. 예상을 깨고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을 공동 선대위원장과 인수위원장으로 연이어 발탁한 것에서도 이를 엿볼 수 있다.

대법원장이나 대법관, 헌법재판소장이나 헌법재판관 등 고위 법조인들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치면서 사생활이나 능력 부분에서 이미 검증을 받았다는 점은 현실적인 요소다.

특히 법조계 출신 중에서도 ‘청빈형’이면서도 조직 내부에서 평이 좋은 인사들이 급부상하는 분위기다. ‘이동흡 논란’의 반면 교사인 셈이다.

조무제 전 대법관과 김능환 전 중앙선관위원장이 대표적이다.

조 전 대법관은 1993년 공직자 첫 재산공개 당시 6천400만원을 신고해 고위법관 103명 중 꼴찌를 차지, ‘청빈판사’ 또는 ‘딸깍발이 판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2004년 대법관 퇴임 후에는 거액이 보장된 변호사 영입 제의를 마다하고 모교(동아대) 석좌교수로 부임해 후학을 양성 중이다.

김능환 전 선관위원장의 경우, 부인이 지난해 김 전 위원장이 대법관에서 퇴임하자 부업으로 소규모 가게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최근 화제를 모았다.

김 전 위원장도 대법관 퇴임 이후 고액 연봉을 주는 로펌 등에 취업하지 않고 개인 변호사 사무실도 내지 않았던 점도 시선을 끈다.

‘베스트(best) 보다는 라이트(right)’, 즉 “능력이 최고인 사람보다는 옳은 길을 걸어온 사람”을 중용하는 박 당선인의 용인술에 들어맞는 인사라는 평도 나온다.

지난 대선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 선대위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을 지낸 안대희 전 대법관도 검찰을 떠난 뒤 대법관으로 재직했고, 선거 이후에는 여전히 변호사 개업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총리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이들 중 일부는 ‘책임장관’들을 통할할 내각의 수장으로서 업무를 수행하기에는 너무 자기 색깔이 강하다는 반론도 엄존한다.

◇ 실세형 경제부총리 두고 ‘통합형’ 인사 발탁? = 인선 중간 사그라드는 듯 했던 ‘통합형’ 총리 콘셉트가 최근 다시 고개를 들었다.

박 당선인과 자주 의견을 교환하는 것으로 알려진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지난 18일 인수위 출입기자 환담회에서 통합형 총리쪽에 무게를 실었기 때문이다.

특히 전날 청와대 조직개편에서 정책실장제가 폐지되면서 경제정책은 경제부총리 ‘원톱’ 체제로 가게 된 만큼, 총리는 상징적 의미로 국민대통합을 이끌 인사가 임명될 가능성이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지역 뿐만 아니라 이념적으로도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48% 지지층이 속한 중도개혁 성향의 인사가 발탁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인수위원장 후보로도 거론됐던 한광옥(전북 전주) 인수위 국민대통합위원장이나 정갑영(전북 김제) 연세대 총장 등이 거론된다.

전윤철 전 감사원장을 거명하는 이들도 있다. 전 전 감사원장은 전남 목포 출신인데다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기획예산처 장관, 재정경제부 부총리 겸 장관 등 경제 분야에서도 요직을 두루 지낸 만큼 경제부총리와 호흡을 맞출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개혁성을 갖춘 사회원로급 인사라면 선대위원장 영입 직전까지 갔던 것으로 알려진 박상증 전 참여연대 공동대표가 후보로 거론될 수 있다. 진보 성향의 박 전 공동대표는 선거 기간 이례적으로 박 당선인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지난 대선 무소속 후보로 출마해 완주한 강지원 변호사도 ‘청소년 지킴이’ 활동과 매니페스토 운동을 주도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