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기 등 각종 의혹에 휩싸였던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29일 자진 사퇴함에 따라 후임 인선이 주목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새 정부 출범이 불과 27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조각(組閣)과 정권 인수 등의 작업에 차질을 빚지 않으려면 "늦어도 다음 주 초까지는 내각 인선이 마무리돼야 한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대체적인 견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여권 내에선 박 당선인이 김 후보자 지명에 앞서 접촉했던 총리 후보군이 후임 인선의 최우선 고려 대상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그동안 박 당선인 측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주변에선 평소 '청렴하고 강직하다'는 평을 들어온 김능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장과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총리 후보군으로 거명됐었다.

이외에도 법조인 출신 인사 중에선 안대희 전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장,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 등이 하마평에 이름을 올렸었다.

또 조순형 전 의원, 한광옥 인수위 대통합위원장,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 등의 정치권 출신 인사나 정갑영 연세대 총장, 전윤철 전 감사원장, 김승규 전 국가정보원장, 진념 전 경제부총리, 강지원 변호사 등을 거론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박 당선인이 김 후보자에 앞서 총리직을 제의했던 인사 가운데 상당수가 '고사'의 뜻을 밝혔던 것으로 전해진데다,

김 후보자 사퇴의 주요 배경이 된 각종 의혹을 놓고 "박 당선인 특유의 '보안 인사' 기조가 결국 검증 부실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만큼 "총리 후보자 인선에 상당 시일이 걸릴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새 후보자 인선에선 그 어느 때보다 '검증'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총리 인선의 컨셉트가 변화할 경우 인선 작업의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아울러 향후 인선에서는 헌법재판소장, 헌법재판관, 대법관 등을 지낸 인사들의 발탁이 다소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헌재 소장 출신의 김용준 후보자 지명을 계기로 사법부 수장을 지냈던 인사들의 총리 임명이 삼권분립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당선인 측 관계자는 "박 당선인이 '인사 검증에 소홀했다'는 건 말이 안 된다.

국회 인사 청문 과정에서 의혹의 진위를 가리면 될 일인데,
언론의 '경마식 보도'가 (김 후보자에게) 상처를 입혔다"고 불만을 터뜨렸지만,

이날 김 후보자의 전격 사퇴로 내달 25일 출범하는 새 정부 역시 '큰 상처'를 안게 됐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