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만에 워크아웃 다시 신청한 "쌍용건설" 정상화 '산넘어 산'

채권단, 추가자금 지원엔 여전히 어려움 있다.

국내 시공능력평가 13위인 쌍용건설이 2004년 10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졸업한 이후 8년여 만에 또다시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채권단은 일단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워크아웃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지만 추가 자금 지원 등은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쌍용건설의 미래는 빨간불이 들어온 상황이다.

이에 건설업계는 쌍용건설이 진행 중인 7조6000억원 규모의 120여개 국내외 건설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지에 대해 걱정어린 시선을 보이고 있다.

쌍용건설은 26일 이사회를 열고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이달 말 돌아오는 600억원의 채권을 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쌍용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에 금융감독원은 이날 채권은행들을 소집해 긴급 회의를 열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채권단은 조만간 회의를 소집, 워크아웃 대상 채권 범위를 결정해 금융회사별 의결권 비율을 정할 계획이다. 이후 채권단의 75%(채권액 기준) 이상이 찬성하면 워크아웃이 개시된다.

건설업계에서는 채권단이 쌍용건설의 워크아웃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채권단 중 지분이 상대적으로 많은 우리은행·산업은행 등이 워크아웃에 긍정적이고, 다른 채권단 역시 별다른 방법이 없다고 판단해서다. 쌍용건설이 부도 처리될 경우 채권은행들의 대규모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그러나 쌍용건설의 회생에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채권단은 기존 채무는 유예해 줄 수 있지만 신규 자금 지원에는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작년 10월 지원한 1300억원도 못 받았는데 추가로 돈을 더 넣으라면 누가 하겠느냐”며 “대주주였던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추가로 쌍용건설 기업어음(CP) 등을 매입하는 식으로 책임을 분담해야 자금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주식 감자 및 출자전환도 문제다. 채권단 중 일부는 캠코가 부실채권정리기금 종료에 따라 넘긴 쌍용건설 주식을 받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재무구조 개선 과정에서 실사 결과에 따라 감자한 뒤 출자전환이 이뤄져야 하는데, 주식을 받으면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건설업체들은 쌍용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으로 인해 협력업체 연쇄도산이 우려된다고 보고 있다.

쌍용건설은 운영자금이 고갈됐기 때문에 유상증자 등을 통해 추가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채권단의 협의를 통한 자금 지원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1400여개 협력업체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당장 쌍용건설은 이달 말 하도급업체에 지급해야 할 B2B 전자어음(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약 300억원을 연체시킬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지난 21일 캠코 등을 중심으로 한 경영평가위원회에서 해임결의안을 통보받은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의 거취는 오는 3월 말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지난해 12월 말 주주명부 폐쇄일까지 최대주주(38.75%)였던 캠코가 김 회장의 해임을 주장하고 있지만 채권단 내부에서 이견이 있어 김 회장의 해임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한 채권단 관계자는 “2년 연속 적자를 낸 책임을 물어 김 회장을 해임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는 이들이 많지만 김 회장이 있는 게 회생에 도움을 준다는 의견도 있다”고 말해 양쪽의 주장이 팽팽한 상태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