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당한 과학기술계 홀대로 제대로 삐쳤다

과학계가 소외감이 든다며 서운한 감정을 내 비쳤다. 과학기술 홀대가 예상된다는 인식때문이다. 과학계가 이처럼 속내를 드러낸 것은 지난 대선 후보 시절부터 '과학기술 중심의 국정운영'을 강조해온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기대가 컷기에 실망도 큰 것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7일 과학계의 한 원로는 한 언론사와의 전화통화에서 "지난주 박 대통령의 대국민담화가 과학계 인사들에게 적잖은 충격을 줬다"면서 "과학기술이 정보통신기술(ICT)만으로 집중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고 과기부의 분위기를 전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대 국민 담화에서 "방송기능 없는 미래창조과학부는 껍데기"라며 "이런 식이면 만들 필요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방송 기능을 두고 청와대와 정치권이 공전을 거듭하는 사이 과학기술계가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이다. 과학기술계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한민국과학기술대연합'이라는 조직을 구성하고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벌여왔다.

지난 정권에서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 폐지 등으로 과학기술계가 홀대를 받았다는 공감대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특히 박 대통령이 '과학기술부 부활' '정보통신 전담조직 설치' '미래부 신설' 등의 공약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밝히면서 '대한민국과학기술대연합'의 활동이 성공적이었다는 자평도 잇따랐다.

하지만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활동과 새 정부 출범 이후의 상황을 지켜본 결과 이 같은 분위기는 180도 달라졌다. 과학계를 대표한 인수위원들이 뚜렷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의견도 많다.

인수위 교육과학분과 전문위원이었던 장순흥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산학협력' '지식산업' 등 창조 경제의 핵심과제가 미래부로 이관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최근에야 전해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계의 한 핵심 관계자는 "정치권이 이전투구하는 사이 과학계 전체가 '껍데기'로 매도되는 상황으로 몰렸고 오죽하면 각종 성명서에서 이름을 빼달라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창조 경제라는 구호만 있을 뿐 구체적으로 뭘 하겠다는 마스터플랜(master plan)이 있는지도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 역시 "과학기술에 대한 마인드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고 잘라 말했다.

21세기의 과기부의 역활이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점에 대통령과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