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연 2.75%로 5개월 연속 동결됐다.

북한의 전쟁위협 등 대북 리스크가 압박을 더해가고 경기침체는 장기화 국면을 이어가는 상황이지만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선진국의 경기가 긍정적인 상황이라 국내 경기개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결정으로 해석된다.

일부에서는 정부조직개편 작업이 더디게 흐른 탓에 한은이 경기부양을 위한 새 정부의 재정정책과 공조하기 위해 금리 인하를 유보한 것이 아니냐는 풀이도 나오고 있다.

14일 한국은행은 김중수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 연속이다.

한은은 지난해 7월과 10월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 인하한 바 있지만 이후 현 금리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금리동결 결정은 일부 경기지표가 악화 상태지만 미약하게나마 경기개선의 조짐이 보인다는 회복론에 방점을 찍은 결과로, 추가적인 악재에 대비할 여력을 비축한다는 의미도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또 유엔의 대북제재로 한반도 주변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지만 금리를 인하할 만큼 금융시장에 충격이 가시화하지 않은 점 역시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국내 경제를 살펴보면 2월 수출은 IT업종의 선전에도 자동차, 선박, 철강 등이 부진해 1년 전보다 8.6% 감소했다. 설 연휴 등 조업일수 감소와 환율하락의 여파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작년보다 2.5% 증가해 심각한 상태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편 수입액은 10.7% 줄어 2011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1월 광공업생산은 한 달 전보다 1.5% 감소하면서 작년 8월(-2.4%) 이후 첫 감소세를 나타냈다. 서비스업 생산(-0.9%), 소매판매액(-2%), 설비투자(-6.5%) 등도 모두 부진을 면치 못했다.

2월 고용사정은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두 달 만에 20만명대에 그쳤으나 실업률은 4%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대외적으로는 중국의 1~2월 누적 수출이 23.6%의 높은 신장세를 보였고 미국은 실업률 하락, 소매판매 지표 호조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1분기 경기가 기대만큼 회복하지 않고 ‘무제한 통화완화 정책’으로 대변되는 아베노믹스의 본격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금통위가 조만간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현오석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 내정자도 13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기본적으로 기준금리를 금통위가 결정하지만, 어느 정도 회복 정책은 필요하다고 본다”며 금리 인하를 시사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