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근로자들의 임금상승률은 4.5%로 지난해보다 0.8%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지

7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 상대적으로 높았던 임금상승률에 대한 기저효과와 지난해 2.0% 성장에 이어 올해도 목표치가 2.3%로 낮아진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올해 임금인상률 수준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노동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상승률을 4.5%로 전망했다.

연초 한국은행이 올해 임금상승이 지난해(5.3%)와 비슷한 폭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측한 것과 비교하면 한 발 후퇴한 수준이다.

노동연구원은 "국민경제 생산성에 근거해 볼 때 적정 임금인상률은 4.0%지만, 그밖에 비정규직 근로자 등 노동시장 여건, 노사관계, 사회적 분위기 등을 고려할 때 4.5% 수준의 상승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노동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완만하게 회복되더라도 임금상승률이 2012년 수준에 이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무엇보다 지난해 임금상승률이 물가상승률, 생산성 증가율보다 높은 수준에서 결정된 데 따른 기저효과, 작년보다 다소 회복되더라도 여전히 우려되는 저성장 기조가 임금 상승을 억제할 요인으로 지적됐다.

또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인건비가 작년(3.9%)보다 1.1%포인트나 낮아진 2.8% 수준에서 결정된 것도 경제 전반에 임금상승 억제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노동연구원은 분석했다.

양대 노총이 요구한 올해 임금인상률도 작년보다 낮아졌다.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한국노총은 작년보다 1%포인트 낮은 8.1%, 민주노총은 0.4%포인트 낮은 8.9%를 제시했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훨씬 낮은 상승률을 전망하기도 했다.

현대증권은 임금상승률이 2000년대 중반 이후의 평균적인 수준으로 돌아간다는 측면에서 올해 3.5%가량 오를 것으로 관측했다.

이상재 현대증권 경제분석팀 부장은 "우리나라 고용시장은 임금 격차가 커졌고, 취업자는 늘어났지만 자영업자가 늘어나 임금이 크게 올라갈 수 없는 여건"이라고 말했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경기가 불투명한 탓에 기업들이 임금을 덜 올렸으나 작년에 조정을 통해 경제성장률에 비해 임금상승률이 높았다"며 "올해는 개별 사업장별로 임금 상승률 하향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의 양적완화처럼 경기침체에서 벗어나는 정책적 수단의 하나로 임금상승이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다.

오석태 SC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임금상승률 4.5%는 한국 경제규모로 볼 때 적절한 수준"이라고 전제하고 "임금상승에 대한 기대가 디플레이션 탈출로 이어질 수 있고,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는 것 역시 총체적 임금상승률을 높이면서 내수를 살릴 수 있는 길"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