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으로 몰려간 기업'들  버틸여력 없어 구내로 유턴!

국내의 수 많은 기업들이 생산 원가를 줄이기위해 값싼 노동력이 풍부한 중국으로 80~90년대 대거 중국으로 몰려들어 갔다. 값싼 중국'은 끝났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인건비 고공행진에 더이상 중국만 고집 할 수가 없는 이유다. 결국 시업들은 한국행을 결정하고  '유턴하는 기업' 들이 급증  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기업들이 중국을 고집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이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 전략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내수확대 정책에 임금이  年평균 13% 상승한 요인도 한 몫을 했다.

이제 우리 정부와 지자체들은 중국에서 유턴하는 기업들을 위해 세제혜택은 물론 고급 인력까지 지원하며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한 동안 성장가도를 달렸지만 지금은 지금의 형편은 말로 할수 없을 정도로 힘들다고 한다. 중국에 진출한 B기업의 대표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인건비가 네 배나 올랐다고 했다. 게다가 이직률도 높아 1년에 인력이 20~30%씩 바뀌는 것 또한 다반사라고 했다. 중국에서 더 이상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가 어렵다며 유턴을 결정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한국 제조업체들은 1980~90년대 중국의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산둥성을 중심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2001년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한국기업들의 중국 진출은 본격화됐다.

너도나도 앞다투어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은 한동안 호황을 누리는 듯 했으나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돌변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수출 중심에서 내수 중심으로 성장전략을 점차 바꿨다. 임금 인상으로 중산층을 늘려 내수를 활성화하겠다는 전략으로 정책을 바꾼 것이다. 이에 따라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중국의 최저임금 인상률은 평균 12.6%를 기록했다. 게다가 2011년 중국 정부는 향후 5년간 최저임금을 매년 평균 13% 인상하겠다고 했다.

중국이 자국기업과 국민들을 위한 정책으로 노선이 바뀌자 더이상 값싼 노동력을 기대 할 수 없자 중국에 진출했던 국내 기업들이  한국으로 유턴하려는 움직임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

대표적인 예로 중국 칭다오에 진출한 국내 주얼리업체 18개는 지난해 8월 전북 익산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최근에는 신발·전자부품·자동차부품 등 제조업체 10곳이 국내로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김윤희 KOTRA 중국사업단 과장은 “중국 내 인건비가 급등하는 바람에 최근 국내 제조업체의 중국 진출 문의도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며 중국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의 관심이 줄어 들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한국수출입은행이 중국 진출 기업 3073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11년 이들의 평균 영업이익은 63억2800만달러(영업이익률 3.9%)였다. 이 가운데 서비스업 등을 제외한 15개 제조업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4.1%로 전체 평균보다 높았지만 자동차, 정밀기기, 석유·석탄, 일반기계를 제외하고는 평균치를 밑돌았다.

중국 진출 기업의 부채비율도 국내에 비해 훨씬 높은 편이다. 2010년 기준으로 중국에 100만달러 이상을 투자한 439개 한국 기업의 부채비율은 197%(국내 101.5%)에 달했다. 가구(400%) 기타운송장비(352%) 금속가공(341%) 등은 300%를 넘어서 이자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기업들의 대(對)중국 투자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07년 53억3000만달러로 정점을 찍은 투자금액은 지난해 이보다 40%가량 줄어든 33억600만달러에 그쳐 더이상 중국이 한국 기업들의 투자의 대상에서 관심이 점점 멀어지고 있다.

정부는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 중 국내 복귀를 저울질하는 업체들이 늘어나려는 조짐이 보이자 여기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는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4월 산업통상자원부는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복귀를 돕기 위해 ‘유턴기업 지원대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정부는 또한 고용 규모에 따라 현재 설비투자금액의 10% 수준인 설비투자 보조금을 최대 5%포인트까지 추가로 제공하고 아파트형 임대공장, 임대산업단지 등 기업 수요별로 맞춤형 입지를 지원하는 내용을 고시 했다. 비수도권에 들어서는 기업에는 법인·소득세를 3년간 100% 면제하고 이후 2년간 50% 감면하는 등의 혜택을 준다는 것도 유턴 기업을 유치 하는 데 한 몫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방자치단체도 팔을 걷어붙였다. 직업교육 훈련을 강화해 국내 복귀 기업의 인력 유치를 돕고 공동 연구·개발(R&D) 센터 등을 설립할 계획을 추진하는 등 지자체들은 세수에 도움이 되는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단체장을 비롯한 모든 공무원들이 적극 나서고 있다. 결국 유턴하는 기업을 잡기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구별이 없어 보인다.

이러한 것들은 비단 우리 나라만의 문제뿐만 아니라 미국과 일본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 미국은 법인세 낮춰 ‘유턴기업’ 지원하고 일본 역시  입지제한 규제 폐지해 기업의 유치에 적극적이다.

“미래 제조업 혁명은 ‘메이드 인 아메리카’ 제품이 이끌 것이다.”이말은 지난해 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한 말이다. 이 말을 뒷받침 하듯이 미국 정부는 본국으로 돌아오는 해외 진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우선 35%인 법인세 최고세율을 28%까지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일자리 창출에 기여도가 높은 제조업은 25%까지 낮추기로 했다. 설비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기간도 종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했다. 2011년에는 연방정부 16개 기관이 20개 산업단지에 370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한다.

값싼 인건비를 좇아 중국과 중남미 등에 진출해온 미국 기업들은 이런 미국 정부의 지원정책에 유턴으로 화답하고 있다. 세계 최대 인터넷검색업체 구글은 최근 스마트 안경인 ‘구글 글라스’ 제조공장을 실리콘밸리에 짓기로 했다고 한다.

제조업 부흥을 꿈꾸는 일본 역시 유턴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지원제도 정비에 나섰다. 최근 40.69%인 법인세 최고세율을 38.01%로 인하하더니 2015년까지 35.64%로 더 낮춘다는 계획이다. 공장입지 제한 규제를 폐지하고, 환경규제도 완화하고 있다. 샤프, 소니, 켄우드, 파나소닉 등 일본 제조업체들은 해외 공장을 축소한 뒤 본국에 속속 생산공장을 세우고 있다.

이제 모든 기업들 역시 다시 한번 체제 정비에 힘을 쏟아야 한다. 더이상 값싼 노동력에 기대기 보다는 보다 실질적인 제품의 질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키워 가야 할 것이다. 떠났던 기업이 다시 돌아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 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당연한 결과라는 안일한 생각을 버리고 이들 기업이 국내에 잘 정착 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