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실종 논란이 빚어지면서 이 기록물의 생산·이관 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계당국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이 남북 정상회담 후 2008년초 녹음파일을 풀어 청와대와 각기 1부씩을 나눠가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완성본·잠정본을 둘러싼 진본 논란이 인데 이어 지금은 청와대 보관본이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되고 보관된 과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노무현 정부 측 "누락·삭제는 불가능" = '원생산자'인 노무현 정부 당시 인사들은 일제히 기록 일체를 통째로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넘겼으며 부분 삭제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임상경 전 대통령기록관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통령기록관에 이지원'(e-知園)을 전부 보냈다"면서 "이는 어떤 기록만 빼는 게 아니라 시스템 안의 모든 기록을 이관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디지털 지식정원'이란 의미의 `이지원'은 노 전 대통령이 개발한 청와대 온라인 업무관리시스템이다.

또 김정호 전 청와대 기록관리비서관도 CBS 라디오에서 "노 전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824만건에 달하는 모든 기록물을 넘기고 혹시나 싶어서 외장하드에 담아서 기록물만 별도로 보냈다"면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만 빠졌을 가능성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 전 비서관은 "못 찾고 있거나, 좀 더 시간을 끌고 진위를 가릴 수 있는 검증 자체를 회피하려고 하는 의심도 간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다만 기술적인 문제로 검색에서 추출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열어뒀다.

예컨대 비밀기록물이어서 정상회담과는 전혀 다른 '코드명'으로 제목을 달거나 대통령기록관과 이지원 운영 시스템의 차이로 문서 검색을 못 하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참여정부가 처음으로 전자기록을 이관하다 보니 안정성이 100% 검증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왔다.

◇국가정보원 "대화록 진본 보유" = 국정원의 주장은 남북정상회담이 끝나고 석 달 후인 2008년 1월께 녹음 파일을 기초로 완성본을 만들었고, 청와대에는 이에 앞서 잠정본을 보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과 청와대가 보유한 대화록 사이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면서 어느 게 진본이냐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현재로서는 청와대가 대통령기록관에 보냈다는 대화록을 찾지 못함에 따라 진본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새누리당 "靑-국정원, 각각 대화록 전문 완성" =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국정원이 녹음파일로 녹취록 2부를 작성해 청와대와 1부씩 나눠 가졌다"고 말했다.

이를 토대로 당시 청와대와 국정원은 노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의 대화록에 다른 관련 자료까지 보태 각각 대화록 전문을 완성했으며, 이후 서로 비교해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게 윤 수석의 설명이다.

윤 수석의 주장대로라면 청와대가 관련 기록을 대통령기록관에 넘기기만 했다면 국정원이 보관 중인 기록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측은 "청와대와 국정원이 각각 완성본을 만든다는 게 이해가 안된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의 핵심 당직자는 "대통령기록관에 있다면 아무리 운영 시스템이 달라도 기록을 찾을 수 있다"면서 "노 전 대통령이 불리한 기록을 폐기하도록 지시했거나, 퇴임하면서 관련 기록만 봉하마을로 가져간 것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