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압수한 미술품은 도마뱀 꼬리! 진짜는 어디에?

전두환 씨 일가가 사들인 진품의 미술작품은 제3의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을 것이라는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국내 유수의 언론은 23일 복수의 미술품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언론을 통해 공개된 압수 작품 목록을 모두 살펴봤지만 일부를 제외하고는 보존가치가 떨어지는 대단치 않은 작품들이며 현재까지 공개된 작품들의 값을 다 합쳐도 10억원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만약 “전재국씨가 투자 용도로 그림을 모았다면 젊은 작가들의 그림만을 모으진 않았을 것”이라는게 미술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때문에 미술 애호가인 재국씨가 고가의 미술품을 별도로 숨겨놓은 제3의 수장고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혹이 미술가들 사이에서 소리소문없이 번지고 있다.

제3의 수장고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전 전대통령의 자택과 가족들의 압수 수색 한 달 전에 큰 트럭이 다녀갔다는 증언이 있기때문이다. 때문에 검찰이 압수한 전씨일가의 미술품은 도마뱀꼬리에 불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재국 씨가 사들인 박수근, 이중섭 작품만 20점이 넘는다고 한다. 하지만 이번 압수수색에서는 단 한 점도 진품이 나오지 않았다. 나머지들은 불상, 도자기, 골동품들이라고 하는데, 골동품은 대개 장물 아니면 도굴품이고 진품 여부도 불확실해서 내다 팔 수가 없다.

전재국 씨는 지금 진짜는 숨겨두고 가져가도 되는 것만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심마져 들게 한다. “압수된 불상의 값어치를 따져보면 많이 가야 삼백만 원으로 골동품 전문가들은 대부분 가짜"이며 돈 안 되는 것들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기대가크면 실망도 크다는 말이 있듯이 이번 검찰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추징금을 환수하기 위해 압수한 미술품들의 가치가 세간에 알려진 것처럼 수백억원대보다 훨씬 적은 십억원대에 불과하다는 미술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자 모두가 허탈해 하고 있다. 검찰의 미술품 압수는 전 전 대통령을 압박하기 위한 포석이었다.

이번 압수수색은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환수팀’(김형준 부장검사)이 담당하고 있다. 특별환수팀은 최근 전 전 대통령의 장남 재국씨 소유인 경기 파주 시공사 건물 창고 등을 압수수색해 미술품 300여점을 찾아냈다. 압수된 미술품 중에는 박수근·이대원·육근병씨 등 국내 유명 작가의 작품뿐 아니라, 이탈리아 조각가 스타치올리와 영국 현대예술의 거장 프랜시스 베이컨의 판화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도됐지만 진품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 됐다.

미술계는 이번 압수품 중 발견된 데미안 허스트의 ‘신의 사랑을 위하여’를 관찰한 결과 판화본으로 단정해 금전적인 가치가 원본의 1만분의 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애초 압수품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던 천경자 화백의 작품은 검찰의 미술품 분류 작업에서 발견되지 않았고, 박수근 화백의 작품은 그림을 사진으로 현상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져 소문만 무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술시장 분석 전문가 역시 작품들의 가치에 대해 “현재까지 공개된 작품들의 값을 다 합쳐도 10억원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작품들은 시공사가 발간한 한국 작가 화집 시리즈인 ‘아르비방’ 참여 작가들의 미술품으로 밝혀졌다.“당시 젊은 작가들은 ‘아르비방’ 화집을 갖기 위해 자신의 그림과 대량의 화집을 맞바꾸기도 했다”고 분석 전문가는 말했다.

한편 검찰은 전두환 전 대통령 일가의 미술품 구매에 관여한 브로커들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환수팀(팀장 김형준 부장검사)은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미술품 구매에 관여한 브로커 2~3명을 수사선상에 올려 놓고 비자금과 미술품간 연결고리를 캐고 있는 것으로 23일 알려졌다.

검찰 안팎에서는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미술품 구매를 대행하거나 전문적으로 관리해준 인물로 전갤러리 대표를 지낸 전모(55)씨를 비롯해 대기업계열 미술관의 전 간부 한모씨, 국내 유명 대학출신 미술전문가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어 이들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검찰은 이 가운데 전모(55)씨가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미술품 구매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차원을 넘어 국내외 미술품 거래과정에도 적극 관여한 정황을 잡고, 전씨의 역할이 컷을 것이라는 판단아래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 있다.

전씨는 전 전 대통령의 장남 재국씨가 소유한 미술품 300여점을 추천하고 구입을 대행했던 인물로 수십년 전부터 친분을 맺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재국씨가 운영하는 출판업체 시공사(時空社)의 계열사 리브로에서 임원을 지내기도 했다.

전씨는 미술품외에도 차명재산 관리에도 연루된 의혹이 짙다. 전 전 대통령의 차남 재용씨가 장녀 효선씨에게 신반포아파트 소유권을 넘기는 과정에서 전씨를 거쳐 거래했기 때문이다.

전씨와 함께 한모씨 역시 전재국씨의 미술품 구매 대행을 담당했던 인물로 알려진 인사다. 한모씨 역시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미술품 거래내역에 대해 상세히 알고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전씨, 한씨와 대학 동문인 또 다른 미술전문가(?)도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미술품 거래를 중개한 브로커로 떠오르고 있다.

검찰은 전씨 등이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미술품 구매나 관리를 전담했던 만큼 조만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구입 경위, 구매대금의 출처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특히 비자금이나 비자금에서 유래된 불법 자금이 미술품 구매 자금으로 유입됐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검찰도 헛점을 드러냈다. 검찰이 지난 16일 전 전 대통령 일가를 압수수색한 직후 전씨가 미국으로 출국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검찰은 뒤늦게 지난 22일 전씨 소유의 제주 자택과 수도권에 위치한 사무실 등 3곳을 압수수색하는 뒷북을 쳤다.

이 때문에 검찰이 사전에 핵심 인물에 대한 출국금지를 취하지 않고 뒤늦게 강제수사에 돌입해 추징금 환수가 차질을 빚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전씨는 전재국씨 측 여러 브로커 중 한명으로 출국금지 검토 시점에서는 역할이 드러나지 않아서 출국금지를 제외했던 것"이라며 "전씨가 없다고 해서 조사에 큰 방해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해 큰 의미를 두지 않는것으로 보여지지만 결코 소홀히 다룰 문제는 아닌것 같다.그러나 검찰은 오히려 "전씨가 비자금 관리인인 것은 전혀 아니다"며 "모든 참고인을 출금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전직 대통령의 압수 수사는 검찰의 의지에 달려있다. 다소 의심스러운 구석이 있다면 현미경이라도 들여대는 적극성을 보여야 그나마 양파의 한 꺼풀이라도 벗겨낼수 있을 것이다. 맵고 눈물이 난다고 해서 시작자체를 포기하는 일이 결코 일어나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