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한국대사관 이전 과정서 발견…과거사 증빙자료로 역사 가치 커 

3·1운동과 관동대지진의 피살자 명부가 사상 처음으로 발견돼 공개됐다.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은 1953년 이승만 정부에서 작성한 ‘3·1 운동시 피살자 명부(1권 630명)’,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1권 290명)’, ‘일정(日政)시 피징용(징병)자 명부(65권 22만9781명) 등 총67권을 수집해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과 직원들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 정부가 1953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3·1운동과 일본 관동(關東·간토)대지진 피살자 명부를 공개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번에 공개한 기록물은 일본 도쿄에 있는 주일한국대사관이 최근 이전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을 국가기록원에 이관한 것이다.

1952년 12월 15일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지시로 내무부에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한 명부로 1952년 2월 제1차 한일회담 결렬 후 1953년 4월 제2차 한일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기록원은 이번 자료를 수집한 이후 명부별 분석작업과 외교부, 국가보훈처,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결과를 공개했다.

박걸순 충북대 사학과 교수는 “3·1운동과 관동대지진 당시 피살자 명부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은 최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학술연구는 물론 과거사 증빙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하며 “명부가 정부수립 직후 우리 정부차원에서 처음으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했다는 사실도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일정시 피징용(징병)자 명부’는 6·25 전쟁중 남한지역만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작성되었다는 점에서 관련부처 및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사실확인 및 검증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기록원은 향후 관련 자료를 국가보훈처 등 관련부서에 신속히 제공해 독립유공자 선정과 과거사 증빙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또 개인 명부별로 세부사항을 최대한 빨리 정리해 내년 초부터 일반국민들도 쉽게 열람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앙뉴스 / 신영수 기자 / youngsu4903@naver.com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